많은 나라가 국가 신용등급 하락 혹은 그 위기에 놓이는 것과 대조적으로 세계적 유수 기업들의 신용도는 상향 조정되는 모습이다.
일부 기업은 국가 신용등급을 능가하기까지 한다.
미국의 경우 국가 부채 상한 증액 문제를 둘러싼 논란의 와중에 ‘트리플A(AAA)’ 등급이 위태로워지는 것과는 달리 일단의 기업들은 국가를 능가하는 신용등급을 뽐낼 기세다.
정부부문은 조세수입과 국제 적립금, 국유재산 처분에 따른 막대한 현금비축을 통해 일반적으로는 지급능력이 가장 탁월한 실체로 간주된다.
하지만, 오늘날 선진국들의 재정마저 신용위기의 흐름 속에서 악화일로에 있는 것에서 드러났듯이 민간부문보다도 더 높은 신용등급 강등이나 디폴트(채무상환 불이행) 등 위험에 처해 있다.
기업 특히 신흥시장에서 많은 수입을 올리는 회사들이 높은 현금흐름 수준을 구가하는 모습과 크게 대조되는 양상이다.
미국의 경우 정보기술(IT) 전문 ‘오토매틱 데이터 프로세싱’과 석유회사 엑손모빌, 생활용품과 제약부문의 ‘존슨 앤드 존슨’, 마이크로소프트(MS) 등이 대표적 신용등급 AAA 기업이다.
국제 신용평가기관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는 이들 4개 대기업이 국가 신용등급이나 신용 전망에 영향받지 않을 것이라면서 지급불능 상황에 대비한 5년물 신용디폴트스왑(CDS) 비용이 국채보다 적어도 20bp(0.2%포인트) 낮다고 밝혔다.
미국 이외의 경우 스페인의 바스크, 나바르레 등 자치주와 일본 캐논사의 신용등급이 자국의 신용등급을 능가하고 있다.
신흥시장의 많은 기업도 낮은 부채수준과 높은 성장세로 국가보다 높은 등급을 받고 있는데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로 사업영역을 확장한 터키 이동통신 사업자 투르크셀, A-로 등급이 상향조정된 브라질 맥주회사 앰베브 등이 대표적이다.
그 외 유수 기업들의 대규모 차입 비용이 더욱 싸지는 등 자금조달 조건이 크게 개선되고 있으며 영국 최대 천연가스 공급업체 센트리카 및 제약회사들인 사노피, 노바티스 및 머크 등은 G7(선진 서방 7개국) 국채보다도 CDS 스프레드(수익률 차이)가 낮아 “초안전 자산”이라고 불리기까지 하고 있다.
’런던 앤드 캐피털’사의 아쇼크 샤 최고투자책임자(CIO)는 3일 “2008년 글로벌 신용위기 이후 많은 다국적 기업의 경우 대차대조표상 부채를 줄이고 현금자산을 늘려 신용등급 상향 사이클에 올라타 국가보다 더 높은 평가수준에 이르고 있다”고 말했다.
샤는 갈수록 더 많은 기업이 이런 범주에 들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실제로 전 세계 107개 민간 기업과 지방정부가 외환보유 기준으로 볼 때 소속 국가보다 더 높은 신용등급을 가진 것으로 S&P는 분석하고 있다.
이는 중앙정부가 채무를 갚을 수 없는 상황에서조차 이들 경제적 실체들은 부채상환 의무를 이행할 능력이 있음을 의미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