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해수면이 20년 뒤 최고 130㎜까지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또 지난 60년간 중국 내 빙하의 10%가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에 따른 온도 상승의 결과다.
중국 과학기술부, 기상국, 과학원 등이 지난 15일 발표한 ‘제2차 기후변화 국가 평가보고’에 따르면 기온상승으로 인해 중국의 해수면이 지속적으로 상승, 오는 2030년에는 2009년 기준으로 80~130㎜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16일 보도했다.
중국의 해수면은 1950년대 이래 연평균 2.8㎜씩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 들어 상승 속도가 더욱 빨라지는 추세다. 지역별로는 톈진(天津) 앞바다가 2030년까지 76~145㎜, 상하이가 98~148㎜, 광둥(廣東)성 연안은 83~149㎜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광둥성 주장(珠江) 유역의 해수면 상승은 2050년까지 90~210㎜에 이를 전망이어서 이런 추세라면 2080년까지 중국의 해변 저지대 1만 8000㎢가 물에 잠길 것이라고 보고서는 내다봤다.
지표면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지난 60년간 중국 내 빙하의 10%가 감소했다는 조사 결과도 함께 발표됐다. 중국의 지표면 온도는 1951년부터 2009년까지 1.38℃ 상승했으며 산업화가 본격화된 1990년대 이래 빙하 감소 추세가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고 보고서는 경고했다. 국가기후센터 뤄융(勇) 연구원은 “연평균 기온 상승 폭이나 해수면 상승 추세 등은 전 세계 평균 수준을 크게 상회한다.”면서 “기후변화가 중국에 특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중국 과학기술부, 기상국, 과학원 등이 지난 15일 발표한 ‘제2차 기후변화 국가 평가보고’에 따르면 기온상승으로 인해 중국의 해수면이 지속적으로 상승, 오는 2030년에는 2009년 기준으로 80~130㎜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16일 보도했다.
중국의 해수면은 1950년대 이래 연평균 2.8㎜씩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 들어 상승 속도가 더욱 빨라지는 추세다. 지역별로는 톈진(天津) 앞바다가 2030년까지 76~145㎜, 상하이가 98~148㎜, 광둥(廣東)성 연안은 83~149㎜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광둥성 주장(珠江) 유역의 해수면 상승은 2050년까지 90~210㎜에 이를 전망이어서 이런 추세라면 2080년까지 중국의 해변 저지대 1만 8000㎢가 물에 잠길 것이라고 보고서는 내다봤다.
지표면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지난 60년간 중국 내 빙하의 10%가 감소했다는 조사 결과도 함께 발표됐다. 중국의 지표면 온도는 1951년부터 2009년까지 1.38℃ 상승했으며 산업화가 본격화된 1990년대 이래 빙하 감소 추세가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고 보고서는 경고했다. 국가기후센터 뤄융(勇) 연구원은 “연평균 기온 상승 폭이나 해수면 상승 추세 등은 전 세계 평균 수준을 크게 상회한다.”면서 “기후변화가 중국에 특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1-11-17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