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end inside] 지도부 ‘마오쩌둥 망령’에 떤다

[Weekend inside] 지도부 ‘마오쩌둥 망령’에 떤다

입력 2012-04-07 00:00
수정 2012-04-07 00: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원자바오 ‘문화혁명·좌파 경계령’ 효과 미미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 서기의 지지층인 좌파 세력이 중국 지도부의 공개적인 경고에도 불구하고 기승을 부리면서 지도부를 긴장시키고 있다.

최근 베이징 소재 마오쩌둥(毛澤東)학원이 개학하면서 첫 강의 주제로 투사비수( 私批修·시장경제와 자산계급 비판)를 채택했다고 중화권 언론들이 6일 보도했다. 투사비수의 사(私)는 사영(私營)경제를, 수(修)는 수정주의를 말하는 것으로 공산사회 건설을 위해 시장경제와 자산계급을 척결하자는 마오쩌둥의 핵심 사상이자 홍위병 선동 구호다.

앞서 지난달 25일 이 학교 개학식에서는 마칭커(馬 柯) 원장이 ‘투사비수’를 견지하자고 강조하는 한편 ‘마오쩌둥이 (인민과)제일 친해’, ‘공산당이 없으면 신중국도 없다’ 등 보의 실각으로 자취를 감춘 듯했던 공산당 찬가인 홍가(紅歌) 부르기 의식까지 진행됐다고 신문들은 전했다. 마오쩌둥학원은 중국마오쩌둥연구원 산하의 분원으로 총 9개월간 공산당 이론 강의를 한 뒤 원생들에게 수료증을 준다.

최근 원자바오(溫家寶) 총리가 ‘개혁이 실패하면 문화혁명이 재현될 수 있다.’며 좌파의 출현을 성토했지만 문화혁명 당시 무고한 사람들을 대거 죽음으로 몰아넣었던 마오의 사상과 홍가가 기승을 부리는 것은 결국 집권층의 책임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빙점(氷點) 편집장 출신인 리다퉁(李大同)은 “빈부격차, 부패 등으로 사회불만이 극에 달했으나 대안이 없다는 점에서 좌파의 기승은 이해하지 못할 일도 아니다.”라면서 “정부가 통제불능 국면을 우려해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하는 정치개혁을 단행하지 못하는 데 원인이 있다.”고 말했다.

jhj@seoul.co.kr



2012-04-0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