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재정절벽 파국 피했지만 ‘2차갈등’ 잠복

美 재정절벽 파국 피했지만 ‘2차갈등’ 잠복

입력 2013-01-02 00:00
수정 2013-01-02 16: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백악관, 승리 선언 vs 공화당, 추가협상 과정 대공세 예고

급여 생활자들의 세금 인상 문제도 정치권에 큰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백악관과 공화당이 이번에 합의하는 과정에서 2011년 경기부양을 위해 한시적으로 낮췄던 소셜시큐리티(Social Security:국민연금) 원천징수세금(Payroll Tax)을 전혀 손대지 않아 올해부터 평균 2%P가 인상, 월급여의 6.2%씩 다시 공제하게 됐다.

이에 따라 연간 5만달러를 버는 급여 생활자는 지난해보다 올해 1천달러의 세금을 더 내야 한다. 10만 달러를 버는 사람은 2천달러를 더 부담하게 됐다.

워싱턴포스트(WP)는 “원천징수세율과 함께 고소득층 세율까지 한꺼번에 인상함으로써 올해가 수십 년 만에 가장 많은 세금이 부과되는 해”라고 지적했다.

◇ 오바마, 집권2기 조각 경제팀 구성 급선무 = 오바마 대통령은 이런 상황을 막기 위해 가급적 이른 시일내 새 재무장관을 포함한 차기경제팀 구성을 마무리해야 한다.

국가 채무한도 증액이나 예산안 자동 삭감 문제 등 난제 해결을 위해서는 의회와의 합의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현재, 경기 회생과 국가부채 감축 등 두 난제를 해결해야 할 신임 재무장관에는 제이콥 류 현 백악관 비서실장, 클린턴 행정부 시절 백악관 비서실장을 지낸 어스킨 보울스가 거명된다.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래리 핑크 최고경영자(CEO), 라엘 브레이너드 재무부 차관, 로저 올트먼 전 재무부 차관, 진 스펄링 국가경제회의(NEC) 의장, 크리스티나 로머 버클리 캘리포니아주립대 경제학 교수도 하마평에 올라 있다.

세계적인 투자자 워런 버핏은 최근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최고경영자(CEO)를 공개적으로 추천한 바 있다.

연합뉴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원 위촉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6월 27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개최된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촉식 및 제1차 전체회의에서 시민권익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됐다. 서울시의회 시민권익위원회는 ‘서울시의회 민원 처리에 관한 조례’에 따라 설치된 기구로, 민원 처리의 전문성과 공정성 강화를 목표로 운영된다. 이번 제1기 위원회는 서울시의회 내부위원 15명과 외부위원 7명으로 구성됐으며, 외부위원으로는 대학교수, 국회입법조사처 팀장, 변호사, 회계사, 기업 전문가 등 각 분야 전문가가 참여해 실질적인 민원 해소와 제도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위원 임기는 2025년 6월 27일부터 2026년 6월 26일까지다. 첫발을 내디딘 서울특별시의회 시민권익위원회는 ▲의회 민원처리 종합계획 수립 ▲의회신문고 운영·관리 ▲서울시 및 서울시교육청 민원현황 분석 ▲현장 민원조사 ▲주요 시책사업과 관련한 민원 대응 ▲관련 법·자치법규 개선 자문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박 의원은 평소 “안 된다, 어렵다”는 관행적 민원 응대에서 벗어나 “된다, 해보겠다”는 적극행정을 강조하며, 강동지역 민원 해결사로서 주민과 행정 사이의 가교 역할을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원 위촉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