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살 소녀, 엄마 남친에 성폭행 임신 파문

11살 소녀, 엄마 남친에 성폭행 임신 파문

입력 2013-07-06 00:00
수정 2013-07-06 13: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모친 남자친구가 가해자 ’낙태 허용’ 촉구 빗발

세계에서 가장 엄격한 낙태 금지국 중 하나인 칠레가 성폭행을 당한 초등학생이 임신한 사건으로 발칵 뒤집혔다. 덩달아 낙태 허용에 관한 논쟁이 재점화했다.

최근 남부 푸에르토 몬트 지역에서 초등학교 5학년 소녀(11)가 모친의 남자친구에게 약 2년간 상습적으로 성폭행당해 결국 임신했다고 칠레 언론인 코오페라티바 라디오 등이 6일 보도했다. 가해자는 경찰에 체포돼 범행을 자백했다.

피해자는 현재 임신 14주로 임신 상태가 계속되면 태아와 산모 모두 생명이 위험해질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칠레에서는 치료목적 낙태를 포함해 모든 낙태가 금지대상이다. 적발 시 환자와 시술자 모두 징역 3∼5년형을 받을 정도로 처벌이 엄하다. 사회지도층에서 보수 가톨릭 성향이 매우 강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칠레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인터넷 게시판 등에는 이번 사건의 피해자에게 시급히 낙태를 허용해야 한다는 탄원과 ‘그래도 낙태는 살인’이라는 반대론이 맞서고 있다.

낙태문제는 칠레의 오랜 사회적 난제였다. 가톨릭 성향이 강한 남미에서도 낙태를 범죄로서 엄벌하는 국가는 칠레가 유일하다. 유엔에서도 ‘여성 인권을 억압하는 악법’이라는 질타를 받았다.

작년 칠레 의회에서는 낙태금지 조항을 완화하는 법안이 3건이나 발의됐지만 모두 무위에 그쳤다. 산모의 생명이 위험하거나 태아의 생존확률이 낮은 등 예외적 경우에 낙태를 허용하자는 내용이었지만 보수적 엘리트층의 완강한 거부를 이겨내지 못했다.

올해 대선에서도 낙태는 중요한 주제다. 칠레의 첫 여성 대통령 출신 미첼 바첼레트 등 일부 진보진영 후보들은 성폭행 피해자에 대한 낙태 합법화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하지만 우파 성향의 현 집권당인 알리안사(Alianza)의 파블로 론게이라 후보는 낙태 반대 원칙을 고수한다.

진보성향 대선 후보인 마르코 엔리케스 오미나미는 트위터에서 “이번 사건은 끔찍한 범죄다. 온 나라에 낙태 합법화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수도 산티아고의 여론조사기관 모리(Mori)의 마르타 라고스 대표는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칠레는 경제면에서는 현대화됐지만 낙태 문제에서 보듯 사회나 정치 분야는 정체됐다”며 “가톨릭 영향이 강해 외부 세계와 격리된 보수적 문화가 존재하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강동구 가래여울변 한강 산책로 조성 이어 자연친화 쉼터 조성 본격화

‘강동엄마’ 박춘선 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장마가 소강상태를 보인 지난 21일 미래한강본부 담당자들과 함께 강동구 가래여울 한강변을 찾았다. 이번 방문은 지난 산책로 조성 이후 변모된 현장을 살피는 차원에서 진행됐다. 가래여울 한강변은 상수원보호구역이자 생태경관보존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상당 기간 방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박 의원의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주민들이 산책하고 이용할 수 있는 휴식공간으로 탈바꿈해 나가는 중이다. 이날 박 의원은 현장점검에서 새로 교체된 막구조 파고라와 산책로 주변 수목 정비 및 6월 1차 풀베기와 가지치기 작업 상황을 살펴보고, 이어서 7월 중 실시될 2차 풀베기 일정까지 꼼꼼히 챙겨봤다. 박 의원은 관계자들과 함께 장마로 훼손된 잔디와 생태교란식물 제거, 편의시설 보강 등 세부적인 관리 개선책을 논의하며 가래여울 한강변을 “방치된 공간에서 시민들이 사랑하는 쉼터로 만드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적극 행정을 펼칠 것을 주문했다. 이날 현장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두 가지 사업을 집중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올해 7월부터 9월까지는 간이 피크닉장을 조성하여 ▲평의자 4~5개와 안내표지판을 설치하고 ▲토사 유출을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강동구 가래여울변 한강 산책로 조성 이어 자연친화 쉼터 조성 본격화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