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달라이라마 22일 깜짝 회동…미- 중관계 ‘살얼음판’

오바마·달라이라마 22일 깜짝 회동…미- 중관계 ‘살얼음판’

입력 2014-02-22 00:00
수정 2014-02-22 01: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백악관 집무실 아닌 관저에서 中 “내정 간섭” 즉각 반발 성명

버락 오바마(왼쪽)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오른쪽)를 만난다고 백악관이 밝혔다. 이들의 회동 소식에 중국이 강력 반발하고 나서 가뜩이나 껄끄러운 미·중 관계가 더 경색될 것으로 보인다.

케이틀린 헤이든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20일 “오바마 대통령이 내일 오전 사저에서 국제적으로 존경받는 종교·문화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를 만날 예정”이라면서 “두 사람은 2010년 2월과 2011년 7월에도 회동한 적이 있다. 또 지난 30년간 양당 소속 대통령들도 백악관에서 달라이 라마와 회동했다”고 설명했다.

백악관은 이날 오후까지도 회동 일정을 공개하지 않았으나 언론 보도가 이어지자 NSC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통해 이를 시인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백악관 집무실인 오벌 오피스가 아닌 관저 1층 맵룸에서 달라이 라마를 만날 예정이다. 회동 발표 방식이나 회동 장소 등을 볼 때 사안의 민감성을 의식한 행보로 풀이된다.

헤이든 대변인은 그러나 “미국은 중국에서의 인권과 종교의 자유를 강력하게 지지한다. 그런 의미로 중국 내 티베트에서 긴장이 지속되고 인권 상황이 악화하는 점을 우려한다”며 중국에 대한 경고를 잊지 않았다. 이어 “중국 정부에 달라이 라마와 티베트 측과 조건 없는 대화를 재개할 것을 거듭 촉구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정부는 즉각 반발 성명을 내고 강력히 항의했다. 화춘잉(華春塋) 외교부 대변인은 21일 외교부 홈페이지에 낸 논평에서 “우리는 엄중한 우려를 표명한다. 미국이 우리의 우려를 진지하게 처리해 즉각 지도자와 달라이 라마와의 회견 계획을 취소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논평은 “시짱(西藏·티베트) 사무는 중국 내정에 속하는 문제로 어떤 국가도 간섭할 권한이 없다”며 “미국이 지도자와 달라이 라마의 회견을 마련한 것은 중국 내정에 대한 난폭한 간섭이자 국제관계의 준칙을 엄중하게 위반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특히 이번 회동에 대해 “중·미 관계를 엄중하게 훼손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번 회동으로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은 중국의 반발 수위다. 중국이 달라이 라마를 만났다는 이유로 프랑스·영국·독일 등에 경제·무역 보복 조치를 가했듯 미국에 대해서도 강경 대응할 것인지 주목된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4-02-2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