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정부가 최근 카타르 등 중동국가들에 대한 군수 기업들의 무기 수출을 허용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을 빚고 있다.
카타르는 ‘이슬람국가’(IS)와 같은 수니파 과격 무장단체에 무기를 제공했다고 의심받는 국가인데다 무기 수출에 신중을 기하겠다는 독일 정부의 정책에 어긋난 결정이기 때문이다.
4일(현지시간) 일간지 쥐트도이체차이퉁을 비롯한 현지 매체에 따르면 독일 정부는 최근 카타르 외에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알제리, 요르단, 오만, 쿠웨이트 등에 탱크, 기관총 등의 수출을 허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일부 언론은 독일 정부가 앙겔라 메르켈 총리와 지그마르 가브리엘 부총리 겸 경제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5월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열어 무기 수출 허가를 결정했다고 이 사안에 대해 추가 보도했다.
가브리엘 부총리 등 독일 각료들은 올해 들어 자국의 무기가 분쟁 지역으로 넘어가 악용될 소지가 있다고 보고 무기 수출 허가에 신중하겠다는 뜻을 강조해 왔다.
이에 따라 정치권을 중심으로 독일 정부가 스스로 천명한 것과 달리 분쟁 위험 지역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있는 무기 수출을 허용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좌파당 등 독일 내 진보성향 야권은 가브리엘 부총리가 무기 수출업체들의 로비에 휘말린 것 아니냐는 의혹의 눈길을 보내며 특히 카타르 등지로의 수출 허가를 문제 삼고 나섰다. 카타르는 현재 IS에 대한 무기 지원 의혹을 부인하면서 미국이 주도하는 IS 타격에 적극적으로 가세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미국과 러시아 다음으로 무기 수출이 많은 독일은 지난해 58억 유로 규모의 무기 수출을 허가했고 이 가운데 62%가 알제리,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등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밖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카타르는 ‘이슬람국가’(IS)와 같은 수니파 과격 무장단체에 무기를 제공했다고 의심받는 국가인데다 무기 수출에 신중을 기하겠다는 독일 정부의 정책에 어긋난 결정이기 때문이다.
4일(현지시간) 일간지 쥐트도이체차이퉁을 비롯한 현지 매체에 따르면 독일 정부는 최근 카타르 외에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알제리, 요르단, 오만, 쿠웨이트 등에 탱크, 기관총 등의 수출을 허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일부 언론은 독일 정부가 앙겔라 메르켈 총리와 지그마르 가브리엘 부총리 겸 경제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5월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열어 무기 수출 허가를 결정했다고 이 사안에 대해 추가 보도했다.
가브리엘 부총리 등 독일 각료들은 올해 들어 자국의 무기가 분쟁 지역으로 넘어가 악용될 소지가 있다고 보고 무기 수출 허가에 신중하겠다는 뜻을 강조해 왔다.
이에 따라 정치권을 중심으로 독일 정부가 스스로 천명한 것과 달리 분쟁 위험 지역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있는 무기 수출을 허용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좌파당 등 독일 내 진보성향 야권은 가브리엘 부총리가 무기 수출업체들의 로비에 휘말린 것 아니냐는 의혹의 눈길을 보내며 특히 카타르 등지로의 수출 허가를 문제 삼고 나섰다. 카타르는 현재 IS에 대한 무기 지원 의혹을 부인하면서 미국이 주도하는 IS 타격에 적극적으로 가세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미국과 러시아 다음으로 무기 수출이 많은 독일은 지난해 58억 유로 규모의 무기 수출을 허가했고 이 가운데 62%가 알제리,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등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밖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