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심각한 인구 고령화로 ‘노인대국’으로 불리는 일본이지만 근로자 정년 연장 등 선제적인 대응책을 마련해 고령화의 파고를 헤쳐나가고 있다. 사진은 일본 도쿄의 사회복지법인 고토엔을 방문한 어린이들과 인사를 나누는 노인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인류 수명 한계가 최대 120세라는 학계의 주장이 나왔다.
22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 메일의 보도에 따르면 영국의료연구위원회 의장이자 옥스퍼드대 신경생물학과 콜린 블랙모어 교수는 최근 국제 노인학 학술대회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인류 평균수명은 120세에 도달할 것이며, 이것이 인간이 살 수 있는 최대 한계 수치”라고 밝혔다.
이어 “의료와 제약 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80세에서 최대 120세로 늘어나겠지만 이것이 최대치”라며 “중점을 둬야 할 부분은 얼마나 오래 살 수 있는가 보다 어떻게 질 높은 노년의 삶을 사는지의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블랙모어 교수의 주장은 지난해 말 미국 버크노화연구소의 주장과 완전히 다르다. 당시 버크노화연구소는 인간 평균수명 한계에 대해 “인간의 수명이 최대 400~500세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연구팀은 “예쁜 꼬마선충을 유전적 경로를 변경해, 수명을 평균보다 5배로 늘리는데 성공했다”며 “이를 인류에 적용하면 평균수명이 늘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벨기에 브뤼셀 ‘국제 뇌과학 연구소’ 진화인류학 연구원 카델래스트 박사가 국제과학학술지 ‘Current Aging Science’에 게재한 논문에 따르면 인간 평균수명이 120세에 달할 예상 시점은 2050년이다.
인류 평균수명 한계 소식에 네티즌들은 “인류 평균수명 한계, 500살 살면 사는 것 지긋지긋할 듯”, “인류 평균수명 한계, 대체 국민연금을 몇살부터 받을 수 있는 거야?”, “인류 평균수명 한계, 수명이 아니라 젊음이 중요한 건데” 등의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