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후에서 인터넷을 감시·단속해오던 중국 ‘사이버 경찰’이 1일부터 공개적으로 전면에 등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중국 관영 매체들은 공안부가 이날부터 50개 주요 성·시에서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와 모바일 메신저 웨이신(微信·위챗), 포털 사이트 바이두(百度)의 인터넷 카페 계정을 통해 통일된 ‘사이버 경찰 사이트’를 개설한다고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중국 공안은 ‘사이버경찰 순찰 법집행’ 이름의 이 통일 사이트 개설로 인터넷 감시와 단속에 주도권을 쥐고 전면에 나서게 됐다고 영국 BBC 방송 중문판은 논평했다.
사이버 경찰은 인터넷을 24시간 감시해 불법·유해·범죄 정보를 색출하고 사이버 범죄를 예방하며 사이버 범죄사례와 예방법 게시, 누리꾼의 제보 접수 등을 4대 임무로 부여받았다.
’사이버 경찰 사이트’가 개설된 50개 지역은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톈진(天津), 광둥(廣東)성, 충칭(重慶), 장쑤(江蘇)성 등 인터넷이 널리 보급된 지역과 신장(新疆)위구르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지역이다.
중국 공안은 지금까지 암중에서 인터넷 정보를 감시·단속해왔으나 이번 통일 사이트 개설을 계기로 인터넷 단속에 공개적으로 전면에 나섬으로써 인터넷 감시망이 더욱 촘촘해질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중국 당국은 사이버 경찰의 수를 구체적으로 공개한 적이 없지만 베이징의 신경보(新京報)에 따르면 사이버 경찰과 인터넷 여론조사원, 인터넷 내용 심사원을 합친 숫자는 200만여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공안이 인터넷 감시 전면에 나선데 대해 중국 누리꾼의 상당수가 반발했다고 BBC는 전했다.
한 누리꾼은 “공민 언론법이 제정되지 않았는 데 어떻게 법으로 언론을 다스릴수 있나”면서 “경찰이 언론을 다스리는 게 어찌 천하의 웃음거리가 되지 않겠느냐”고 비판했다.
다른 누리꾼은 “본래 지역 네트워크이던 것이 전국 단위로 탈바꿈했다”면서 “인터넷 시대에서 책과 신문을 보는 시대로 되돌아가자는 것이냐”고 반문했다.
”이제 어떻게 하나. 인터넷을 끊어야겠다. 조선(북한) 특색의 사회주의 길로 가자는 것이냐”고 조롱하는 네티즌도 있었다.
공안의 이번 조처를 지지하는 여론도 나왔다.
한 누리꾼은 “종전에는 당국의 인터넷 관리가 유치했는데 이제 비교적 현실적인 처방이 나왔다”면서 “인터넷을 악용해 중국을 혼란에 빠트리고 중국의 현대화 진전을 가로막는 세력이 있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중국 관영 매체들은 공안부가 이날부터 50개 주요 성·시에서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와 모바일 메신저 웨이신(微信·위챗), 포털 사이트 바이두(百度)의 인터넷 카페 계정을 통해 통일된 ‘사이버 경찰 사이트’를 개설한다고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중국 공안은 ‘사이버경찰 순찰 법집행’ 이름의 이 통일 사이트 개설로 인터넷 감시와 단속에 주도권을 쥐고 전면에 나서게 됐다고 영국 BBC 방송 중문판은 논평했다.
사이버 경찰은 인터넷을 24시간 감시해 불법·유해·범죄 정보를 색출하고 사이버 범죄를 예방하며 사이버 범죄사례와 예방법 게시, 누리꾼의 제보 접수 등을 4대 임무로 부여받았다.
’사이버 경찰 사이트’가 개설된 50개 지역은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톈진(天津), 광둥(廣東)성, 충칭(重慶), 장쑤(江蘇)성 등 인터넷이 널리 보급된 지역과 신장(新疆)위구르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지역이다.
중국 공안은 지금까지 암중에서 인터넷 정보를 감시·단속해왔으나 이번 통일 사이트 개설을 계기로 인터넷 단속에 공개적으로 전면에 나섬으로써 인터넷 감시망이 더욱 촘촘해질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중국 당국은 사이버 경찰의 수를 구체적으로 공개한 적이 없지만 베이징의 신경보(新京報)에 따르면 사이버 경찰과 인터넷 여론조사원, 인터넷 내용 심사원을 합친 숫자는 200만여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공안이 인터넷 감시 전면에 나선데 대해 중국 누리꾼의 상당수가 반발했다고 BBC는 전했다.
한 누리꾼은 “공민 언론법이 제정되지 않았는 데 어떻게 법으로 언론을 다스릴수 있나”면서 “경찰이 언론을 다스리는 게 어찌 천하의 웃음거리가 되지 않겠느냐”고 비판했다.
다른 누리꾼은 “본래 지역 네트워크이던 것이 전국 단위로 탈바꿈했다”면서 “인터넷 시대에서 책과 신문을 보는 시대로 되돌아가자는 것이냐”고 반문했다.
”이제 어떻게 하나. 인터넷을 끊어야겠다. 조선(북한) 특색의 사회주의 길로 가자는 것이냐”고 조롱하는 네티즌도 있었다.
공안의 이번 조처를 지지하는 여론도 나왔다.
한 누리꾼은 “종전에는 당국의 인터넷 관리가 유치했는데 이제 비교적 현실적인 처방이 나왔다”면서 “인터넷을 악용해 중국을 혼란에 빠트리고 중국의 현대화 진전을 가로막는 세력이 있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