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여객기 실종 사건 일지

말레이시아 여객기 실종 사건 일지

입력 2015-07-30 10:35
수정 2015-07-30 10: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3월 실종된 말레이시아 항공 여객기의 잔해로 추정되는 물체가 29일(현지시간) 아프리카 동부 인도양의 프랑스령 레위니옹 섬 해안에서 발견됐다.

MH370기는 지난해 3월 8일 쿠알라룸푸르에서 출발해 베이징으로 향하던 중 베트남 남부 해상에서 통신이 두절됐다.

당시 비행기에는 승객 227명과 승무원 12명 등 239명이 타고 있었다. 사고 이후 말레이시아와 호주, 중국, 베트남, 인도 등이 대대적인 수색에 나섰지만, 지금껏 여객기 잔해를 비롯해 아무런 흔적도 발견되지 않았다.

다음은 MH370기 추락 사고 일지

▲ 2014.3.8 = 쿠알라룸푸르에서 출발한 MH370기가 이륙 40여 분만에 통신 두절·실종

▲ 2014.3.9 = 중화권 매체 보쉰(博迅), 자칭 ‘중국순교자여단’(中國烈士旅)’이 자신들 소행이라고 주장했다며 테러의혹 제기했으나 확인되지 않음

▲ 2014.3.11 = 수색 범위 말레이시아 반도와 말레이시아 서부 해역,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북부 등으로 확대

▲ 2014.3.15 = 말레이시아 정부, ‘고의적 행동’이라며 납치 가능성 제기, 남중국해 탐색 중단하고 인도양 수색으로 전환

▲ 2014.3.16 = 말레이 당국, 실종 여객기 조종사 납치 가능성 수사. 기장 자하리 아흐마드 샤(53)와 부기장 파리크 압둘 하미드(27)의 집 수색

▲ 2014.3.17 = 호주 정부, 인도양 해역 수색 주도 발표

▲ 〃 = 말레이항공, 운항정보 교신시스템이 꺼진 시점이 불분명하다며 조종사 개입 정황 부정.

▲ 2014.3.19 = 실종 11일째, 상업 여객기로는 사상 최장 실종 기록, 26개 국가가 수색에 참여한 사상 최대 규모의 다국가 연합 수색 작전 기록

▲ 2014.3.20 = 인도양 남부에서 MH370기 잔해로 추정되는 대형 물체 2개가 인공위성 사진에 포착됐으나 수색 실패

▲ 2014.3.24 = 말레이시아 정부, 실종 17일 만에 인도양 남부 해상에 추락한 것으로 결론

▲ 2014.4.5 = 중국 순시선, 블랙박스 주파수 탐지. 실종기와 연관성은 미확인

▲ 2014.4.6 = 호주 해군 함정, 전자 음향 파동 감지. 실종기와 연관성은 미확인

▲ 2014.4.7 = 호주 해군, 블랙박스 추정 신호 감지

▲ 2014.4.12 = 말레이시아 언론, 실종기가 계획에 없던 회항을 한 뒤 레이더망에서 사라지기 직전 부조종사 파리크 압둘 하미드 소유의 전화에서 발신 신호가 잡혔다고 보도

▲ 2014.4.14 = 무인 잠수정 해저 수색 개시

▲ 2014.4.30 = 말레이시아 당국,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 영국 항공사고조사국, 중국 항공사고조사부(AAID) 등과 항공기·엔진 제작사인 보잉과 롤스로이스, 인공위성업체 인마샛 등이 포함된 국제조사팀 활동 시작 발표

▲ 〃 = 8개국이 참여한 공중 수색 종료, 해상 수색작업 해 온 선박들도 대부분 철수

▲ 2014.5.27 = 인마샛, 실종기 추적에 활용된 위성통신 자료 공개

▲ 2014.5.29 = 호주 합동수색조정센터, 인도양 수색구역에 실종기 없다고 결론

▲ 2014.6.11 = 말레이시아·호주, 2단계 해저수색을 위한 해저지도 제작 업체 선정

▲ 2014.6.13 = 말레이시아 항공, 실종기 탑승자에 대한 보상금 지급 시작

▲ 2014.6.22 = 텔레그래프, 실종기 기장의 자택에서 압수한 모의 비행장치에서 수색 작업이 집중된 인도양 남쪽 한 무인도의 작은 활주로에 착륙 훈련을 한 비행 연습 기록 복원했다고 보도

▲ 2014.7.17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쿠알라룸푸르로 가던 말레이시아 항공 MH17편이 우크라이나 상공에서 피격, 298명 전원 사망

▲ 2014.8.8 = 말레이시아항공 상장 폐지, 고강도 구조조정 발표

▲ 2014.10.6 = 남인도양에서 해저 수색 재개

▲ 2014.10.31 = 실종기 탑승자 가족, 항공사와 말레이시아 정부 상대로 첫 손해배상 소송 제기

▲ 2015.1.29 = 말레이시아 민간항공청, 실종 MH370편 ‘사고’ 공식선언

▲ 2015.1.30 = 말레이시아 생명보험업계, 사고기 탑승자 유족에게 1천680만 링깃(약 50억7천만원) 보험금 지급

▲ 2015.3.8 = 실종 1년. 국제조사팀, 승무원 문제·기체 결함 발견 못 했다고 발표

▲ 2015.7.29 = 인도양 프랑스령인 레위니옹 섬 해안에서 실종기 잔해로 추정되는 물체 발견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