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술사에게 팔려고” 케냐서 백색증 환자 신체 절단 ‘비상’

“주술사에게 팔려고” 케냐서 백색증 환자 신체 절단 ‘비상’

입력 2015-09-15 08:43
수정 2015-09-15 08: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내달 탄자니아 선거 앞두고 “접경 케냐 알비노 공격 급증” 우려

ⓒ AFPBBNews=News1
ⓒ AFPBBNews=News1


케냐에서 주술사에게 판매할 목적으로 백색증 환자(알비노)를 공격해 신체 일부를 절단하는 사건이 발생, 내달 선거를 앞둔 이웃나라 탄자니아에서 이들 알비노를 노린 ‘사냥꾼’이 증가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됐다.

케냐 서부 비히가 행정구역에 사는 56세의 알비노인 에녹 자메냐는 14일(현지시간) 이 지역 한 병원에서 “지난 10일 한밤중에 마체테(날이 넓은 긴 칼)를 든 3명의 괴한이 방안에 침입해 돈을 요구했다”라며 당시 상황을 전했다고 케냐 일간 데일리 네이션 인터넷판이 보도했다.

자메냐는 “돈이 없다고 말하자 괴한들이 탄자니아에 팔 것이라며 귀와 손을 잘라가겠다고 말했다”라고 설명했다.

결국, 괴한들은 자메냐의 왼쪽 귀를 자르고 손가락에 깊은 상처를 입히고서 팔과 목을 긋고는 당황한 나머지 그대로 달아났다.

의식을 잃은 자메냐는 이튿날 아들에게 발견돼 병원에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으며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는 알비노의 신체 일부를 주술에 이용하면 부와 명예를 얻을수 있다는 미신이 퍼져 있다.

자신도 알비노인 케냐 의회의 아이작 므와우라 의원은 오는 10월 25일 대선·총선을 앞둔 탄자니아에서 알비노 신체 부위에 대한 거래가 증가, 접경 케냐지역에 거주하는 알비노에 대한 공격이 늘어날 것임을 경고했다.

유엔 전문가에 따르면 알비노 신체 일부는 약 600달러, 신체 전부는 7만 5,000 달러에 거래되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탄자니아에서는 지난 2000년 이후 76명의 알비노가 목숨을 잃었으며, 신체 일부가 절단된 채 목숨을 건진 알비노도 수십 명에 이른다.

알비노 권익보호 단체들은 탄자니아가 최근 알비노 살해 혐의로 기소된 자들에 대해 사형을 선고하는 등 강력히 대응하고 나서 케냐 알비노에 대한 공격이 증가할 것이라며 ‘정부의 강력한 대응’을 촉구했다.

백색증은 피부와 모발, 그리고 눈동자에 색소가 부족한 유전적 질병이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강동구 가래여울변 한강 산책로 조성 이어 자연친화 쉼터 조성 본격화

‘강동엄마’ 박춘선 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장마가 소강상태를 보인 지난 21일 미래한강본부 담당자들과 함께 강동구 가래여울 한강변을 찾았다. 이번 방문은 지난 산책로 조성 이후 변모된 현장을 살피는 차원에서 진행됐다. 가래여울 한강변은 상수원보호구역이자 생태경관보존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상당 기간 방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박 의원의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주민들이 산책하고 이용할 수 있는 휴식공간으로 탈바꿈해 나가는 중이다. 이날 박 의원은 현장점검에서 새로 교체된 막구조 파고라와 산책로 주변 수목 정비 및 6월 1차 풀베기와 가지치기 작업 상황을 살펴보고, 이어서 7월 중 실시될 2차 풀베기 일정까지 꼼꼼히 챙겨봤다. 박 의원은 관계자들과 함께 장마로 훼손된 잔디와 생태교란식물 제거, 편의시설 보강 등 세부적인 관리 개선책을 논의하며 가래여울 한강변을 “방치된 공간에서 시민들이 사랑하는 쉼터로 만드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적극 행정을 펼칠 것을 주문했다. 이날 현장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두 가지 사업을 집중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올해 7월부터 9월까지는 간이 피크닉장을 조성하여 ▲평의자 4~5개와 안내표지판을 설치하고 ▲토사 유출을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강동구 가래여울변 한강 산책로 조성 이어 자연친화 쉼터 조성 본격화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