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이 파리 테러 현장에서 재난 지대에서의 안부를 확인해주는 ‘안전 점검(Safety Check)’을 활성화시켰다.
안전 점검은 재해 지역에 있는 사용자가 자신의 프로필에 안전한지를 표시해 주변 사람들에게 자신이 무사한지를 알리는 기능으로, 네팔 대지진 때 가동된 바 있다.
16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지난 13일 페이스북은 파리 테러 현장에서 안전 점검을 가동시키고, 트위터는 뉴스 큐레이션 앱을 통해 파리 현지 소식을 발 빠르게 전하는 등 테러 현장에서 뉴미디어가 빛을 발하고 있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는 페이스북을 통해 “안전 점검을 가동시켜 파리에 있는 사람들이 친구나 가족에게 안부를 전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재해 지역이 아닌 테러 지역에 안전 점검이 가동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페이스북의 안전 점검은 2014년 10월 도입돼 총 다섯 차례 가동됐다. 저커버그는 2011년 일본에서 발생한 동일본대지진과 쓰나미 사건을 계기로 해당 툴을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페이스북은 재난 지역에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에게 현재 안전한지를 묻는 메시지를 보낸다. 사용자는 안전할 경우 이를 확인해 프로필에 보여주고, 페이스북 네크워크를 통해 다른 이들에게 전달된다.
페이스북은 지난 4월 네팔 대지진 때 이를 처음 가동시켰으며, 당시 해당 지역에 있던 700만명 이상의 사용자가 자신의 안부를 1억5천만명 이상의 지인에게 전달했다.
지난 9월 칠레 지진 때와 10월 멕시코 허리케인 재난 때도 가동됐다.
한편, 트위터는 화제가 되는 주요 트윗을 모아 보여주는 뉴스 큐레이션 탭인 ‘모멘트’(Moments)‘를 이용해 파리 테러 현장을 전했다.
구글은 자사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앱인 행아웃(Hangouts)을 통해 주말 동안 프랑스에 있는 친지나 친구의 안부를 체크할 수 있도록 프랑스로 거는 국제 전화에 무료 서비스를 제공했다.
파리 시민들은 트위터에 해시태크 ’#PorteOuverte(문을 엽니다)'를 붙여 테러로 갈 곳을 잃은 이들에게 거처를 제공했다.
트위터 사용자들은 트위터의 라이브 스트리밍 앱인 페리스코프를 통해 테러 현장을 영상으로 전했다.
연합뉴스
안전 점검은 재해 지역에 있는 사용자가 자신의 프로필에 안전한지를 표시해 주변 사람들에게 자신이 무사한지를 알리는 기능으로, 네팔 대지진 때 가동된 바 있다.
16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지난 13일 페이스북은 파리 테러 현장에서 안전 점검을 가동시키고, 트위터는 뉴스 큐레이션 앱을 통해 파리 현지 소식을 발 빠르게 전하는 등 테러 현장에서 뉴미디어가 빛을 발하고 있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는 페이스북을 통해 “안전 점검을 가동시켜 파리에 있는 사람들이 친구나 가족에게 안부를 전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재해 지역이 아닌 테러 지역에 안전 점검이 가동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페이스북의 안전 점검은 2014년 10월 도입돼 총 다섯 차례 가동됐다. 저커버그는 2011년 일본에서 발생한 동일본대지진과 쓰나미 사건을 계기로 해당 툴을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페이스북은 재난 지역에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에게 현재 안전한지를 묻는 메시지를 보낸다. 사용자는 안전할 경우 이를 확인해 프로필에 보여주고, 페이스북 네크워크를 통해 다른 이들에게 전달된다.
페이스북은 지난 4월 네팔 대지진 때 이를 처음 가동시켰으며, 당시 해당 지역에 있던 700만명 이상의 사용자가 자신의 안부를 1억5천만명 이상의 지인에게 전달했다.
지난 9월 칠레 지진 때와 10월 멕시코 허리케인 재난 때도 가동됐다.
한편, 트위터는 화제가 되는 주요 트윗을 모아 보여주는 뉴스 큐레이션 탭인 ‘모멘트’(Moments)‘를 이용해 파리 테러 현장을 전했다.
구글은 자사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앱인 행아웃(Hangouts)을 통해 주말 동안 프랑스에 있는 친지나 친구의 안부를 체크할 수 있도록 프랑스로 거는 국제 전화에 무료 서비스를 제공했다.
파리 시민들은 트위터에 해시태크 ’#PorteOuverte(문을 엽니다)'를 붙여 테러로 갈 곳을 잃은 이들에게 거처를 제공했다.
트위터 사용자들은 트위터의 라이브 스트리밍 앱인 페리스코프를 통해 테러 현장을 영상으로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