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11개월 만에 50달러 돌파…뉴욕증시 다우 0.1% 상승 마감

국제유가 11개월 만에 50달러 돌파…뉴욕증시 다우 0.1% 상승 마감

장은석 기자
입력 2016-06-08 09:15
수정 2016-06-08 09: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뉴욕증시
뉴욕증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가 11개월 만에 처음으로 배럴당 50달러를 돌파한 가운데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혼조세를 나타냈다.

WTI가 배럴당 50달러를 넘은 것은 작년 7월 21일 이후 처음이다.

7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WTI 7월 인도분은 전날보다 67센트(1.4%) 오른 배럴당 50.3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7.95포인트(0.10%) 상승한 17,938.28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72포인트(0.13%) 오른 2,112.1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6.96포인트(0.14%) 떨어진 4,961.75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상승 출발한 지수는 장중 대체로 강세 흐름을 이어갔다.

뉴욕 유가가 지난해 7월 이후 처음으로 50달러 선을 넘어서며 에너지업종을 강하게 끌어올린 것이 증시에 긍정적인 재료가 됐다.

전일 재닛 옐런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점진적인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언급하며 미국 고용시장 부진에 따른 경제 우려를 완화한 것도 투자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만 나스닥 지수는 바이오젠 등 일부 생명공학주 하락에 영향을 받으며 장중 내림세로 돌아섰다.

업종별로는 에너지업종이 2% 넘게 급등세를 보이며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이외에 통신업종이 1% 넘게 상승했고 산업업종과 기술업종 등도 소폭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금융업종과 헬스케어업종은 하락세를 나타냈다.

생명공학주인 바이오젠의 주가는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 실험에 실패했다는 소식에 12% 이상 급락했다.

의류 브랜드인 랄프로렌의 주가는 비용절감과 매출 회복을 위해 일부 지점을 닫고 감원을 단행한다는 소식에 2.3% 떨어졌다.

미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의 주가는 일부 애널리스트들의 목표주가 상향 소식에도 소폭 내림세를 나타냈다.

개장 전 발표된 올해 1분기(2016년 1~3월) 미국의 노동 생산성 수정치는 기존 발표치보다 덜 약화했다.

미 노동부는 1분기 비농업 생산성이 기존 발표치인 연율 1.0% 하락보다 덜 약화한 0.6%(계절 조정치)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애널리스트들은 0.8% 하락했을 것으로 예측했다.

생산성 하락은 1분기 경제 성장률 둔화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됐다. 1분기 기업투자와 전 세계 경제 우려, 유가 하락에 따른 에너지업종 부진 등이 성장률 둔화를 부추겼다.

이에 따라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는 단위 노동비용이 큰 폭으로 올랐다.

1분기 단위 노동비용은 애초 연율 4.1% 상승에서 4.5% 상승으로 수정됐다. 애널리스트들은 단위 노동비용이 4.0% 상승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1분기 시간당 보상은 애초 3.4% 상승에서 4.2% 상승으로 상향 조정돼 임금 상승 압력이 높아지고 있음을 나타냈다.

뉴욕 애널리스트들은 이날 생명공학 관련 기업들의 부정적인 소식이 나스닥 지수 하락을 이끌었다며 전반적으로 주식시장이 추가 상승을 위한 촉매제를 찾고 있는 과정에 있다고 평가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2.93% 상승한 14.05를 기록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