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3A호가 촬영한 리우올림픽 경기장 모습 아리랑 3A호가 지난달 2일 촬영한 브라질 리우올림픽 경기장 모습.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3월 발사한 아리랑 3A호에서 받은 영상자료를 일반에 판매하기로 했다. 비영리·공공·학술 목적으로 사용하는 영상자료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이 보급하고, 이외의 경우에는 대행사 ㈜쎄트렉아이이미징서비스를 통해 판매한다. 이번 상용화로 한국은 미국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해상도 0.5m 이하급 영상시장에 진입하게 됐다. 미래창조과학부·항우연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아리랑 3A호가 촬영한 리우올림픽 경기장 모습
아리랑 3A호가 지난달 2일 촬영한 브라질 리우올림픽 경기장 모습.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3월 발사한 아리랑 3A호에서 받은 영상자료를 일반에 판매하기로 했다. 비영리·공공·학술 목적으로 사용하는 영상자료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이 보급하고, 이외의 경우에는 대행사 ㈜쎄트렉아이이미징서비스를 통해 판매한다. 이번 상용화로 한국은 미국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해상도 0.5m 이하급 영상시장에 진입하게 됐다. 미래창조과학부·항우연 제공
아리랑 3A호가 지난달 2일 촬영한 브라질 리우올림픽 경기장 모습.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3월 발사한 아리랑 3A호에서 받은 영상자료를 일반에 판매하기로 했다. 비영리·공공·학술 목적으로 사용하는 영상자료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이 보급하고, 이외의 경우에는 대행사 ㈜쎄트렉아이이미징서비스를 통해 판매한다. 이번 상용화로 한국은 미국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해상도 0.5m 이하급 영상시장에 진입하게 됐다.
미래창조과학부·항우연 제공
2016-07-05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