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새 총리 메이, ‘대처’보단 정반대격인 ‘메르켈’ 스타일”

“英 새 총리 메이, ‘대처’보단 정반대격인 ‘메르켈’ 스타일”

입력 2016-07-13 10:37
수정 2016-07-13 10: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중한 실용주의…속내 드러내지 않고 반대파 의견도 수용”

영국의 새 총리 테리사 메이(59)가 영국에서 26년 만에 탄생한 여성 총리라는 점에서 ‘제2의 마거릿 대처’로 불리지만, 실제 정책이나 견해는 대처보다는 앙겔라 메르켈(61) 독일 총리에 가깝다는 평가가 나왔다.

AP통신은 13일(현지시간) 취임하는 메이와 메르켈 총리의 비슷한 점으로 ‘신중한 실용주의’의 궤적을 보여왔다는 점을 꼽았다.

메르켈은 많은 이슈에서 사회적 합의가 이뤄질 때까지 경계선에서 기다리는 중립적인 태도로 유명하고, 메이는 영국을 반으로 갈라놓은 유럽연합(EU) 탈퇴 국민투표에서 인내심 있는 전략을 펼쳤다는 것이다.

메이는 국민투표 캠페인 기간 소극적인 잔류파로 분류됐으며 이는 투표 후에 사의를 표명한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의 후임으로서 둘로 쪼개진 보수당과 영국을 단합해 나가야 할 자리에 적격이라는 평가로 이어졌다.

미국 싱크탱크 저먼마셜플랜(GMF)의 한스 쿤드나니 외교정책 분석가는 “어떤 이슈에 대해 메르켈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마지막 순간이 돼야만 알 수 있다는 말이 있다”며 “메이도 그와 비슷하게 속을 헤아릴 수 없는 인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모든 사람이 여성 지도자들을 대처에 빗대고 싶어한다. 메르켈이 처음 등장했을 때도 그랬다”며 “그러나 실제로 메르켈은 ‘반(反) 대처’”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집권 초기 메르켈은 결단력 있는 우파 여성 정치인이라는 점에서 ‘독일판 철의 여인’으로 불리기도 했지만, 실용적 중도 우파의 모습을 보임으로써 ‘굽히지 않는’ 스타일의 대처와는 거리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메이의 취임이 다가온 현시점에서 가장 큰 이슈는 메이가 메르켈 총리처럼 사회적 합의를 찾아 나서는 중도파가 될지, 아니면 반EU 목소리를 높이는 의원들을 향한 ‘우향우’을 선택할지라고 AP는 지적했다.

캐머런 총리가 자유민주당과 구성한 연립 내각에서 메이는 내무장관으로 일한 경험이 있고 메르켈 총리는 좌파 정당들과 대연정을 이루면서 자신이 이끄는 기독민주당을 중도로 끌어당겨 왔다.

메이는 총리로 확정된 이후 11일 의회 앞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소수 특권층이 아니라 우리 모두를 위해 일하는 나라가 될 것”이라고 밝혀 ‘서민과 노동자를 위한 보수당’을 만들 가능성을 시사했다.

닮은 꼴로 거론되는 두 여성 지도자는 곧 EU와 영국의 미래를 결정할 한판 줄다리기에 들어간다.

현재 세계의 이목은 영국이 국민투표로 브렉시트를 결정한 상황에서 메이가 EU의 형님 격인 독일의 메르켈 총리와 어떻게 탈퇴 협상을 이끌어갈지에 쏠려 있다.

브렉시트의 핵심 이슈인 이민 문제에서 메르켈 총리는 2015년 관대한 정책을 펼쳤다.

그러나 메이는 내무장관을 지낼 때부터 영국으로의 이민자 수를 줄여야 한다는 데 확고한 입장을 밝혔다.

메이는 “브렉시트는 브렉시트”라며 탈퇴 의지를 재확인했다.

어떤 식의 탈퇴가 될지 상세한 구상은 밝히지 않고 있으나 유연하고 최소화한 브렉시트 쪽으로 태도를 바꾸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쿤드나니는 “메이는 탈퇴 입장을 증명하려 더 강한 모습을 보여야 하는 상태”라며 “개인적으로는 다른 쪽을 선호할지는 모르지만, 브렉시트에서 물러서지 않아야 한다는 압박이 더 강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117년 만의 기록적 폭염 속에서 서울지하철 일부 역사가 체감온도 40도에 가까운 ‘찜통’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은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지하철 각 호선 주요 역사 17개 역을 대상으로 오전 8시, 오후 3시, 오후 6시의 온도를 표본 측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옥수역의 경우 24일 오후 3시 39.3도, 오후 6시 38.1도를 기록하는 등 시민들은 ‘찜통역’을 경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2호선 성수역 또한 24일 오후 39도를 기록하는 등 매우 높은 온도를 기록했으며 조사한 3일간 오전 8시 온도 역시 30도를 넘겨 오후 기록보다는 낮지만, 서울지하철 기준온도(가동기준온도 29℃)보다 높은 것을 확인했다. 조사 결과, 지하역사인 아현역(최고 31.2도), 한성대입구역(최고 31.5도), 서울역(30.5도)도 조사 기간 내 오후뿐만 아니라 아침 시간대에도 이미 29~30도를 기록하여 시민들이 온종일 더위에 노출되고 있으며, 실제 체감온도는 측정치보다 훨씬 높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상역사에 비해 지하역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지만, 밀폐 구조로 인해 공기가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