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엔 소중한 터키…오바마, 실망해도 에르도안 지지”

“미국엔 소중한 터키…오바마, 실망해도 에르도안 지지”

입력 2016-07-21 16:07
수정 2016-07-21 16: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독재로 빠져드는 듯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에 대한 미국의 여전한 지지는 가치와 이해관계에 같은 무게를 두는 미국 대외정책의 민낯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20일(현지시간) “에르도안에 대한 오바마의 지지는 터키가 미국에 지닌 가치를 보여주는 단면”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이같이 해설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에르도안에게 크게 실망했을 수 있지만, 터키는 극단주의 무장세력 ‘이슬람 국가’(IS) 격퇴 등을 위해 꼭 필요한 국가라는 게 기사의 골자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19일 에르도안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실패한 쿠데타 시도를 비난하고, 에르도안 대통령과 그 가족이 안전해 다행이라고 말했다.

터키 정부의 국가비상사태 선포로 에르도안 대통령이 입법, 사법, 행정권을 한몸에 틀어진 초법적 존재가 된 상황에서도 오바마의 지지는 변하지 않고 있다.

이는 미국·터키 관계가 직면한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증거라고 NYT는 분석했다.

그동안 오바마 대통령뿐만 아니라 미국의 역대 대통령들은 중동 지역에서 자국이 지향하는 가치만큼이나 관계 변화에 따른 득실을 까다롭게 따져왔다.

예를 들면 미국은 중동에서 다른 핵심 동맹국과 관계를 유지하는 이점 때문에 자국 가치에 반하는 이집트의 억압적인 군사 정부를 용인했다.

현재 미국과 터키는 쿠데타의 배후로 지목된 재미 이슬람학자인 펫훌라흐 귈렌의 신병을 두고 갈등을 빚고 있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전화로 오바마 대통령에게 귈렌을 추방해 조속히 터키로 넘겨달라고 요청했다.

이 지점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송환요청과 관련한 법률을 준수하고 미국 거주자의 정당한 권리를 존중해달라”며 법치주의와 같은 가치를 타협하지 않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과 에르도안 대통령은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상당한 친분을 유지해왔다.

터키는 오바마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방문한 무슬림 국가다.

2009년 터키 방문 당시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과 터키가 모범적인 협력 관계를 맺을 수 있다”며 터키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과거 오바마 대통령은 에르도안 대통령을 새로운 유형의 무슬림 지도자이자 원칙을 지키는 행동파 지도자로 평가했다고 톰 도닐론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2011년 밝힌 바 있다.

에르도안 대통령도 오바마 대통령을 중동 지역에서 다른 나라를 제쳐놓고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만 소중히 여기지 않을 믿음직한 미국 지도자로 평가했다.

2011년 ‘아랍의 봄’ 당시 오바마와 에르도안은 협조 관계를 유지했다. 2011년에 에르도안 대통령은 데이비드 캐머런 전 영국 총리 다음으로 오바마 대통령과 가장 자주 대화한 지도자였다.

그러나 에르도안 대통령의 지향점이 의회 민주주의에서 대통령 중심 권위주의로 기울자 오바마와 에르도안의 관계도 소원해지기 시작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에르도안 대통령에게 권위주의 성향을 억제하라고 수차례 사적으로 권고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고광민 서울시의원, 동덕여고 정책제안 간담회 참석

서울시의회 고광민 의원(국민의힘, 서초3)은 지난 11일 서초구 동덕여자고등학교에서 열린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제안 간담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동덕여고 학생들이 참여하는 진로탐구아카데미 활동의 하나로, 학생들이 지역과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고민하고 직접 정책을 제안하는 자리이다. 고 의원은 매년 간담회에 빠짐없이 참석해 학생들의 발표를 경청하고 조언을 전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총 8개 팀이 참여해 ▲AI 기반 배수로 감지 시스템 ▲문학치료를 통한 정신건강 증진 ▲에너지 자립 및 재활용 방안 ▲폐의약품 관리 ▲스마트 분리수거 ▲골목상권 활성화 ▲생활권 도시숲 관리 ▲경로당 냉난방비 및 복지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발표했다. 고 의원은 학생들의 발표를 꼼꼼히 메모하며 경청한 후 “동덕여고의 발표 수준은 고등학생 수준으로 보기 힘들 정도로 깊이가 있다”라며 “정책적 문제의식과 해결방안을 고민한 점에 감탄했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어 고 의원은 각각의 발표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며 “정책을 실행할 때는 실현 가능성과 예산 문제, 비용 대비 편익까지 고려해야 한다”며 학생들이 더 넓은 시야로 정책을 바라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
thumbnail - 고광민 서울시의원, 동덕여고 정책제안 간담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