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집값 상승 톱10 중 8곳 중국… 서울 91위

세계 집값 상승 톱10 중 8곳 중국… 서울 91위

김규환 기자
입력 2017-01-30 22:40
수정 2017-01-30 23: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 도시들이 전 세계 주택가격 상승률 상위권을 싹쓸이했다.

30일 영국 부동산 컨설팅업체 나이트프랭크의 ‘글로벌 주거 도시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150개 도시의 1년간(2015년 3분기~2016년 3분기) 집값 상승률을 비교한 결과 상위 10개 도시 가운데 1~8위가 모두 중국 도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이 빠른 속도로 뛴 곳은 중국의 장쑤(江蘇)성 성도 난징(南京)이다. 난징의 집값은 1년 새 42.9% 치솟았다. 상하이(上海)와 IT산업이 몰려 있는 광둥(廣東)성 선전(深?), 수도 베이징(北京)의 집값 상승률은 각각 39.5%, 34.5%, 30.4%로 1년 새 30% 이상 폭등했다. 장쑤성 우시(無錫·28.2%), 저장(浙江)성 성도 항저우(杭州·28.2%), 톈진(天津·25.4%), 허난(河南)성 성도 정저우(鄭州·25.0%)가 그 뒤를 이었다.

중국 외에 10위권 안에 든 도시는 캐나다 밴쿠버(24.0%)와 인도 첸나이(24.0%)뿐이었다. 1997년 홍콩의 중국 반환을 앞두고 홍콩인들이 앞다퉈 몰려들어 ‘홍쿠버’라는 별명이 붙은 밴쿠버는 외국인들까지 가세하면서 지난 10년간 항상 집값 상승률 상위권을 유지했다. 지난해에는 스위스금융그룹 UBS가 꼽은 집값 거품이 가장 심한 도시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첸나이는 현대자동차 공장이 있는 인도 남부의 주요 도시다. 서울은 같은 기간 주택 가격이 3.1% 상승하면서 91위에 이름을 올렸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7-01-3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