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명사 1280명 공개 서명
●“인류 지배 우려… 안전장치부터”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스티브 워즈니악 애플 공동 창업자 등이 “최소 6개월간 첨단 인공지능(AI) 개발을 일시 중단하자”고 제안했다. AI가 인류를 지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만큼 이를 막을 안전장치부터 만들자는 것이다. ‘미국과 AI 주도권 경쟁 중인 중국만 좋은 일 시켜 준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미국의 비영리단체 ‘생명의 미래 연구소’(FLI)는 29일(현지시간) “최첨단 AI 시스템 개발을 일시 중단하자”는 공개 서한에 머스크와 워즈니악을 포함해 유명 인사 1280명이 서명했다고 밝혔다. 이미지 제공 사이트 핀터레스트의 에번 샤프 CEO와 세계적 베스트셀러 ‘사피엔스’ 작가 유발 하라리, 알파벳 산하 AI 기업 딥마인드의 연구진 등이 합세했다. 이들은 서한에서 “최첨단 AI는 지구 생명 역사에 중대한 변화를 낳을 수 있어 위험을 관리할 수 있다는 확신이 있을 때 개발해야 한다”며 “외부 전문가가 감독하는 안전 규정이 나올 때까지 세계 모든 AI 연구실에서 ‘챗GPT’에 적용된 GPT4보다 강력한 AI 개발을 최소 6개월간 중단해 달라”고 주장했다. 기업이 합의할 수 없다면 정부가 개입해 강제 유예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도 했다.
다만 챗GPT 공개로 AI 개발 경쟁에 불을 붙인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는 여기에 서명하지 않았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서한에 이름을 올렸다는 뉴스가 돌았지만 누리꾼들의 장난으로 밝혀졌다. 이번 서명에 세계적 명사가 다수 참여했지만 실효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의견이 다수다. 주요국이 취지에 공감해 6개월간 개발을 중단해도 미국과 패권 경쟁 중인 중국이 이를 무시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패권경쟁 中만 좋은 일” 반론도
중국과학기술부는 29일 ‘과학을 위한 AI’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기초 학문의 주요 문제와 약품 개발, 유전자 연구, 생물 번식 분야에 AI 모델과 알고리즘을 적용해 혁신을 이끌겠다는 것이다. 이달 초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도 AI와 반도체 등 첨단 산업 분야는 시 주석이 직접 책임지고 키우기로 결정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AI 개발을 일시 중단하면 중국은 속으로 쾌재를 부를 수 있다.
중국 정부가 ‘6개월 중단’ 조치에 동의해도 개별 연구자들이 이를 따른다는 보장이 없다. 앞서 허젠쿠이 전 남방과학기술대 교수는 국내법을 어기고 2018년 ‘유전자 편집 아기’를 탄생시켰다가 3년 징역형을 받았다.
2023-03-3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