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수출·투자 동반부진
‘6월 금리인상 사실상 무산’ 평가미국 경제가 소비와 수출, 투자의 동반 부진이라는 ‘3각파도’에 직면했다.
불과 올해 초까지도 전 세계에서 ‘나홀로 성장’을 누렸던 것과 확연히 달라진 분위기다.
미국 상무부는 29일(현지시간) 지난 1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 잠정 성장률을 0.2%로 집계했다.
상무부 발표를 보면 이 기간 실질 개인소비지출(PCE) 증가율은 1.9%로 이전 분기의 4.4%보다 크게 둔화됐고, 수출은 7.2% 감소하면서 4.5%의 증가폭을 보였던 지난 4분기와 뚜렷한 대조를 보였다.
지난해 4분기에 4.7% 증가했던 비거주자 고정자산 투자액은 지난 1분기에 3.4% 감소했고, 설비투자 증가율도 지난해 4분기의 0.6%에서 지난 1분기에는 0.1%로 축소됐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진 국제유가 하락이 미국 소비자들의 주머니를 불렸지만, 그렇게 불어난 주머니가 쉽사리 열리지 않고 있음도 지난해 1분기 GDP 집계를 통해 확인됐다.
지난 1분기 실질 가처분 개인소득 증가율은 이전 분기의 3.6%보다 늘어난 6.2%였지만, 지난해 4분기 1천273억 달러였던 개인소비지출 증가분은 지난 1분기 78억 달러로 위축됐다.
이는 지난 1분기 저축률이 5.5%로 이전 분기보다 0.9%포인트 증가하는 요인이었다.
미국 수출 부진의 가장 큰 요인으로는 미국 달러화의 강세가 지목됐다.
주요 6개국 대비 미국 달러화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지난해 상반기 말에 79.775였지만, 작년 말에는 90.269로 13.15% 상승했고, 지난 3월에는 한때 100선을 넘기도 했다.
국제유가의 하락은 미국 에너지기업의 설비투자 감소로 이어졌다.
상무부 집계에서 지난 1분기 광업부문의 설비투자는 48.7% 급감했다.
미국 정부의 지난 1분기 지출 역시 지난해 4분기의 14.0% 감소보다는 완화됐지만, 여전히 6.1%의 감소폭을 보이며 전체 성장률 둔화의 한 축을 이뤘다.
미국의 지난 1분기 경제성장이 예상보다 훨씬 강한 ‘한파’를 맞았음이 알려지면서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오는 6월부터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사실상 사라진 셈이라고 풀이했다.
연준이 지난달 올해 예상 성장률을 2.6∼3.0%에서 2.3∼2.7%로 하향 조정했지만, 1분기에 0.1% 성장에 그치며 출발 때부터 마찰음을 낸 미국 경제가 올해 이 같은 수준의 성장률을 달성하려면 지난해 하반기에 버금가는 고성장을 달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연준이 통화정책 지표로 삼는 노동과 물가 모두 부진의 늪을 쉽사리 벗어나지 못하는 상태다.
이날 상무부 발표에서 음식료와 에너지 부문을 제외한 핵심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상승률은 지난 1분기에 0.9%였다.
지난해 2분기 2.0%였던 핵심 PCE 물가지수 상승률은 같은해 3분기와 4분기에 각각 1.4%와 1.1%로 하향곡선을 그렸다.
지난 3월 비농업부문 신규고용은 12만6천 건에 그치면서 노동시장의 호조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선으로 여겨졌던 20만 개를 13개월 만에 하회하기도 했다.
연준도 지난 1분기 미국 경제가 부진했음을 인정했다.
연준은 이날 오후 발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 성명에서 “겨울을 거치면서 경제성장이 느려졌다”고 지적했고, 이는 지난달 성명에서 “경제 성장이 어느 정도 완만했다”고 판단한 것과 달라진 부분이다.
지난달 “강한” 호조를 보인다고 판단했던 미국 노동시장 동향에 대해 연준은 이날 성명에서 “완만하다”고 시각을 바꿨고, 가계지출에 대한 연준의 판단은 “완만한 증가”에서 “감소”로 변경됐다.
그러나 연준은 “노동시장이 더 개선되고 에너지가격과 수입물가의 감소라는 일시적 효과가 해소될 것”이라며 “물가상승률이 중기적 관점에서 점진적으로 2%까지 오를 것”이라는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이날 성명에서 연준은 기준금리 인상 시점을 유추할 만한 모든 표현을 담지 않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