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시 고 판사, 근면하고 무에서 유 만드는 한국계”

“루시 고 판사, 근면하고 무에서 유 만드는 한국계”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21-10-07 21:00
수정 2021-10-08 03: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美연방고법 인사청문회서 칭찬
중국계 의원은 “전체화한 편견”

루시 고(한국명 고혜란) 미국 제9연방고등법원 판사 내정자. 미 법무부 제공
루시 고(한국명 고혜란) 미국 제9연방고등법원 판사 내정자.
미 법무부 제공
“판사의 (인종적) 다양성은 사법시스템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아메리칸 드림을 재확인해 줍니다.”

루시 고(53·한국명 고혜란) 미국 제9연방고등법원 판사 내정자는 지난 6일(현지시간) 열린 상원 청문회에서 “누구나 판사가 될 수 있다. 이것은 세계와 우리 공동체에 보내는 매우 강력한 메시지”라며 이렇게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지난달 8일 조 바이든 대통령이 낙점한 고 내정자는 청문회를 통과하면 한국계 미국인 여성으로서는 처음 연방고법 판사에 오르게 된다. 그가 맡게 되는 제9연방고법은 캘리포니아, 하와이, 네바다를 포함해 9개 주를 관할한다.

그는 워싱턴에서 태어나 하버드대 로스쿨을 나온 뒤 2008년 캘리포니아주 샌타클래라 카운티의 법원 판사가 됐고, 2010년 한국계로는 처음으로 연방지방법원 판사에 올랐다. 이날 청문회에서 의원들은 고 내정자가 한국계임을 강조했다. 찰스 그레슬리(88) 의원은 “한국 사람들에게 배운 것이 있다면 ‘근면 윤리’와 ‘무로부터 많은 것을 만들어 내는 방법’이라던 내 며느리의 말이 생각난다”며 “당신과 당신의 사람들(한국계)을 축하한다”고 말했다. 고 내정자는 이에 “감사하다”고 화답했다. 하지만 중국계인 민주당 소속 주디 추 하원의원은 “칭찬이라도 일부 구성원의 특성을 전체로 바라보는 것은 편견”이라고 지적했다. 코로나19를 지나면서 아시아계의 근면함이 백인의 일자리를 빼앗는 특성으로 여겨져 아시아계 혐오범죄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는 점에서 이런 언급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워싱턴포스트(WP)는 분석했다.



2021-10-0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