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석 꿰찬 우산 혁명 ‘홍콩독립’ 깃발 펴나

의석 꿰찬 우산 혁명 ‘홍콩독립’ 깃발 펴나

김규환 기자
입력 2016-09-05 23:00
수정 2016-09-06 01: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입법의회 선거 투표율 58%… 민주진영 30석 거부권 행사 가능

지난 4일 치러진 홍콩 입법의회 선거에서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최고인 58%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특히 2014년 홍콩 행정장관 선거의 완전 직선제를 요구하며 이른바 ‘우산혁명’을 이끌었던 학생지도자들이 처음으로 의회에 진출했다. 이들은 선거 공약으로 중국으로부터 홍콩의 독립을 의제로 올리겠다고 공약한 바 있어 중국의 향후 대응이 주목된다.

이미지 확대
침착… 23세 최연소 의원
침착… 23세 최연소 의원 2014년 홍콩 행정장관의 직선제를 요구했던 ‘우산혁명’의 주역인 네이선 로가 5일 입법의원 당선이 확정된 뒤 홍콩의 한 개표소에서 언론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전날 실시된 입법의회 선거에 데모시스토당 대표로 출마했던 로는 최연소 입법의원 당선 기록을 세웠다.
홍콩 EPA 연합뉴스
●반중파, 법률 거부권 최소의석 확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외신들은 5일 70명의 입법의회 의원을 뽑는 선거에서 민주진영인 범민주파와 우산혁명 이후 독립을 추구하는 자치파가 지역구 등을 포함해 30석을 차지했다고 보도했다. 이로써 민주진영은 정부 입법을 저지하고 법률안 거부권 행사가 가능한 최소 의석인 24석(3분의1)을 넘어섰다.

홍콩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최종 개표 결과 지역구 등을 포함해 범민주파는 22석, 자치파는 8석을 확보했다. 반면 친중파는 3석이 줄었지만 40석을 확보해 여전히 다수를 점했다. 입법의회는 현재 전체 70석 중 친중국파 의원이 43석, 홍콩의 자치와 민주주의를 중시하는 범민주파가 27석을 차지하고 있다.

70석 중 지역구 35석은 직선제로, 직능대표 35석은 직선제(5석)와 간선제(30석)의 혼합 방식으로 선출된다. 직능대표 30석 대부분이 특정기업 및 사회 분야 위원회가 선출해 사실상 친중국파에 배정된다.

●자치파 8석 확보… “공산당에 맞설 것”

이번 선거는 유권자 378만명 중 무려 220만명이 참여해 58%의 역대 최고 투표율을 기록했다. 이는 1997년 홍콩이 중국에 반환된 뒤 가장 높은 투표율이다. 4년 전인 2012년 180만명이 참여해 53%의 투표율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5% 포인트 높은 수치다.

571개 투표소에서 치러진 이날 선거는 당초 오전 7시 30분부터 오후 10시 30분까지였지만 유권자의 투표행렬이 이어지면서 4시간여 지난 새벽 2시 30분까지 투표가 진행됐다.

이 같은 높은 투표율은 2014년 우산혁명 이후 하나의 국가에 두 개의 체제를 허용한다는 ‘일국양제’(一國兩制)에 대한 젊은 유권자의 불안감이 표출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우산혁명 학생 지도자 23세 최연소 의원

실제로 투표장에는 1000명이 넘는 젊은 유권자가 1시간 넘게 줄을 선 채 투표를 기다리는 보기 드문 광경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들은 홍콩의 급격한 중국화에 대한 반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장 우산혁명 학생지도자였던 네이선 로(23)는 데모시스토당 대표로 출마해 5만표가 넘는 지지를 얻으며 당선됐다. 그를 포함해 우산혁명 지도자 4명이 의회 진출에 성공했다. 최연소 입법의원 당선 기록을 세운 그는 “홍콩인은 변화를 원한다”며 “우리는 중국 공산당에 맞서 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만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장, 관악산 자연휴양림 투자심사통과 환영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임만균 위원장(더불어민주당, 관악3)이 지난 9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2025년 제4차 서울시 투자심사위원회’에서 관악산 자연휴양림 조성 사업이 투자심사를 통과한 것에 대해 적극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이번에 통과된 ‘관악산 자연휴양림 조성 사업’은 관악산(관악구 신림동 산117-25일대), 총 21만 6333㎡ 규모의 부지에 추진되며 약 125억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산림휴양 인프라 사업이다. 사업 기간은 2024년 8월부터 2027년 5월까지로 계획되어 있으며, 주요 시설로는 방문자센터, 산책로, 최대 104명이 이용 가능한 숙박시설 17동 24실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향후 사업 일정은 2025년 7월부터 2026년 3월까지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 관련 부서 협의와 행정절차 이행을 거쳐, 2026년 4월 착공, 2027년 5월 준공을 목표로 추진된다. 관악산 자연휴양림은 서울시가 산림청과의 공동협약을 통해 추진 중인 ‘거점형 산림여가시설 조성’ 사업의 하나로, 서울시에서 두 번째로 조성되는 자연휴양림이다. 임 위원장은 앞서 지난해 9월, 조성 예정지를 직접 방문하고 서울시 및 관악구 관계자들에게 적극적인 행정 협조와 추진체계
thumbnail - 임만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장, 관악산 자연휴양림 투자심사통과 환영

이제훈 기자 parti98@seoul.co.kr
2016-09-06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