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연례협의 보고서 통해 권고
국제통화기금(IMF)은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이 적어도 내년 9월까지 양적완화 정책를 지속해야 한다고 권고했다.IMF는 27일(현지시간) 유로존 연례협의 결과 보고서를 통해 그리스의 경제위기 재발 가능성이 있는 데다 경기회복 속도 둔화도 뚜렷한 만큼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경기부양책을 펼 것을 권고했다.
마무드 프라드한 IMF 유럽 담당 부국장은 “중요한 것은 유럽중앙은행(ECB)이 (양적완화 프로그램을) 2016년 9월까지 지속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 “어쩌면 내년 9월을 넘길 수도 있다”고 말했다.
IMF는 특히 물가상승률이 목표치인 2.0%를 밑돈다면 ECB의 양적완화 프로그램의 확대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현재 유로존 연간 물가상승률은 0.2%로 ECB 목표치를 크게 밑돌고 있으며, 올해 초에는 -0.6% 수준에 머물렀다. 이런 추세대로라면 2020년까지 유로존 물가상승률이 ECB의 전망치에 도달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실업률도 높은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유로존의 경우 경제성장률이 평균 1%를 넘어야만 실업률이 낮아질 것으로 분석된다.
IMF는 “(유로존이) 내수 증가와 유가 하락 등에 힘입어 회복세가 강해졌다”면서 “유로존이 내년에 1.7%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여 올해(1.5%)보다는 나아진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만성적인 수요 부족과 기업·은행의 자산구조 훼손, 낮은 생산성” 등을 이유로 유로존 경제의 “중기적 (성장) 전망이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유로존이 성장의 발목을 잡을 위험 요인을 피하려면 진행 중인 양적완화 정책을 “중기적 물가 목표에 맞춰 지속적인 물가상승이 이뤄질 때까지” 전면적으로 실시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IMF는 또 유로존이 정부 지출을 늘리고 세금을 낮추는 방식으로 수요를 진작시키는 한편, 고용시장을 유연하게 하고 은행의 악성대출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유로존 국가들의 이 같은 노력이 선행된다면 유럽 경제는 올해와 내년 각각 2.7%와 3.0%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ECB는 지난 3월부터 국채와 민간 영역의 채권 등을 사들여 매달 600억 유로(약 77조 3000억원) 규모의 유동성을 공급하는 양적완화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5-07-2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