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P 자료사진 연합뉴스
22일(이하 현지시간) 세상을 떠난 영국 모델 스텔라 테넌트가 2018년 1월 23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샤넬 춘하 패션 컬렉션에 앞서 사진촬영 행사에 응하고 있다.
AP 자료사진 연합뉴스
AP 자료사진 연합뉴스
스코틀랜드 출신으로 칼 라거펠드와 베르사체 등이 좋아했던 톱 모델로 보그와 하퍼스 바자르 표지모델로도 유명했다. 유족들은 “스텔라는 뛰어난 여성이었으며 모두에게 영감을 줬다. 그녀가 많이 그리울 것”이라면서 그녀의 죽음이 “갑작스럽다”고 했다. 경찰은 “의심스러운 정황이 전혀 없다”고 했다고 영국 BBC는 다음날 전했다. 물론 유족들은 사생활을 존중해줄 것을 당부했다.
베르사체는 곧바로 해시태그 #스텔라테넌트(StellaTennant)를 붙이며 “잔니 베르사체의 오랜 세월 뮤즈였으며 가족의 친구였다”고 추모했다.
그녀가 처음 눈에 띈 것은 스물두 살이던 1993년 영국판 보그에 화보가 실리면서였다. 알렉산더 맥퀸, 캘빈 클라인, 장 폴 고티에르, 버버리 등의 패션 명가들이 잇따라 그녀와 함께 작업했다.
테넌트의 얼굴은 남녀 양성적인 면모가 스치고 귀족적인 면모도 엿보인다. 그도 그럴 것이 11대 데본셔 공작인 앤드루 카벤디시와 데보라 밋포드의 손녀딸이기 때문이다. 2012년 런던올림픽 폐회식 때 케이트 모스, 나오미 캠벨과 함께 출연할 정도로 영국을 대표하는 모델이었다.
모델이 되기 전 윈체스터 예술학교에서 “첫 사랑”에 빠진 것 같았다고 털어놓았을 정도로 조각을 좋아했다. 우연히 보그 사진작가 스티븐 마이셀의 눈에 띈 뒤에도 모델 일을 원하는지 확신하지 못했다. 그녀는 2016년 이브닝 스탠더드 인터뷰를 통해 “남들 눈앞에 서는 것을 원치 않았다. 크고 천박한 세상이라고 생각했다. 내가 그런 일을 좋아하는지 확신하지 못했다”고 털어놓았다.
하지만 결국 패션계에 발을 들였다. 본인의 말마따나 1990년대는 “모델 일을 시작하기에 좋은 때”였다. 1990년대 말 라거펠드는 그녀가 코코 샤넬과 닮았다는 이유를 대면서 샤넬의 새 얼굴로 소개했다. 첫 아이를 가진 뒤 1998년 은퇴했지만 나중에 컴백했다. 프랑스 태생 사진작가 데이비드 라스넷과 1999년 결혼해 네 자녀를 뒀다.
에너지를 덜 소비하고 유행 트렌드를 재빨리 따라 하고 생산 및 유통, 재고 처리 등을 빨리빨리 하는 패스트 패션(fast fashion)를 없애 환경에 미치는 폐해를 줄여야 한다는 캠페인에도 참여했다. 지난해 일간 가디언에 “우리 습관을 바꾸는 데는 시간이 많이 걸릴 것이지만 내 생각에 이 캠페인은 올바른 방향으로 내딛는 한 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녀는 1990년대 입었던 옷들을 다시 꺼내 입는다며 일년에 새로 구입한 옷이 다섯 벌 밖에 안 된다고 털어놓았다.
“내 나이가 되면 소비에 그다지 관심도 없고 젊을 적만큼 쇼핑을 즐기지 않는 게 보통이라고 생각한다. 우리 모두 조금은 어렵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
2012년 스코틀랜드 패션 명예의전당에 헌액됐다. 켐벨을 비롯해 팝스타 폴 매카트니의 딸이자 디자이너인 스텔라 매카트니, 그룹 ‘스파이스 걸스’ 출신으로 디자이너로 전업한 빅토리아 베컴, 미국 모델 겸 여배우 신디 크로포드, 이탈리아 디자이너 도나텔라 베르사체 등이 추모의 글을 올렸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