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시각서 기술 주장…조선인 희생 제대로 명기될지 의문
조선인이 징용된 산업시설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한 일본 정부 관료는 한국의 주장을 따르지 말고 독자적 시각에서 관련 역사 정보를 제공하자고 주장했다.11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가토 고코(加藤康子) 일본 내각관방참여는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탄광을 비롯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자국 산업시설의 역사를 설명하는 정보센터에 관해 “제대로 역사를 마주 보고 한국이 말하는 대로가 아니라 일본으로서 확립한 계획을 제시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전날 도쿄에서 열린 강연에서 한국 시민단체 등이 일부 산업 시설에 한반도 출신 노동자가 동원돼 노역한 것이 나치 독일의 강제노동과 동일한 것처럼 주장하고 있다고 지적하고서 “역사를 뒤트는 날조다. 일본의 이미지를 손상하려는 선전에 대항수단을 준비해야 한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가토 내각관방참여는 각지에 있는 산업분야의 유산에 관해 “작은 지역자원이라도 숨겨진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사회적·역사적으로 의의가 있는 것이 남아 있으며 가치를 알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가토 내각관방참여는 하시마 탄광과 나가사키 조선소 등 일본의 근대 산업시설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되도록 하는 업무를 담당했다.
그는 앞서 “한국이 세계유산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일본이 허용하고 만 것은 안타깝고 분하다”고 말하는 등 일부 시설에서 이뤄진 조선인 징용문제가 부각된 것에 대한 반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가토 내각관방참여가 내놓은 일련의 발언은 정보센터에 반영될 역사 서술이 징용 피해자의 희생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를 키운다.
일본 정부는 조선인의 노역 사실 등 관련 역사 전체를 방문자가 알 수 있도록 정보센터를 설치하기로 했으나 세계유산에 등재된 후 ‘조선인 징용은 사실이지만 이를 강제노동으로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