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을 차지한 강소연 작가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큰 상을 받게 돼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부족한 점이 많은 걸 알기에 앞으로 더 잘하라고 주는 상으로 알고 매진하겠다”는 포부도 잊지 않았다. 그는 대학 졸업 뒤 사회생활을 하다가 도예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학교(대학원)로 되돌아왔다. 작가는 “뒤처지지 않기 위해 아등바등하던 때 도와준 많은 사람들을 떠올리게 된다”며 “아낌없는 조언을 주신 은사와 사랑하는 가족들, 친구들에게 영광을 돌리겠다”고 말했다. 작가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성(性)을 소재로 차원 높은 담론을 풀어놨다. 작품 ‘골드핑거’는 암술과 수술이 없는 꽃을 형상화 했다. 기능은 없으나 욕망만 가득해 사정하고 죽은 꽃이다. 작가는 성욕의 배설을 저급한 방식으로 끌어가기보다 신성한 분위기와 교차시켰다. 또 현대사회의 물질문명 세태와 묘하게 짝지었다. 홍익대 도예유리과와 도예과 대학원을 거쳐 대학생도예공모전 특선 등의 경력을 지녔다.
2013-12-18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