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진 “윤제균, 지금 세대에 큰힘 되는 영화 만들어주길”

남진 “윤제균, 지금 세대에 큰힘 되는 영화 만들어주길”

입력 2015-02-08 11:57
수정 2015-02-08 11: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제시장’ 윤제균 만나 고마움 전해…젊은 날 영화 수십편 출연

“’국제시장’처럼 국민이 함께하고 애환을 달랠 수 있고 또 희망을 가질 수 있고 요즘 젊은 세대에게 교훈이 되는, 지금 살아가는 세대에게 큰 힘이 되는 멋진 국민 영화를 만들어주길 기대합니다.”

1960~70년대 전설인 가수 남진(70)이 1천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국제시장’의 윤제균(46) 감독과 만난 자리에서 이렇게 당부하며 응원했다.

지난 5일 강남구 압구정동의 한 음식점에서 윤 감독을 만난 남진은 ‘국제시장’에서 자신을 시대를 대표하는 인물 중 하나로 스크린에 그려준 데 대해 “영화보고 군대 생활, 선배 생각 등 옛날 생각을 많이 했다. 그런 자취를 담아냈으니 윤 감독 대단한 친구”라며 고마움을 표시했다.

윤 감독도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인간적이시다”며 “평생 스타로 살아오셨으니까 저하고 대회가 잘 될 수 있을까 생각했는데 소탈하시고 인간적이시다”고 화답했다.

전남 목포의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난 남진은 시대를 풍미한 가수로 전설의 반열에 올랐지만 사실 영화배우를 꿈꿨다. ‘국제시장’에선 동방신기의 유노윤호가 연기한 남진이 베트남전 참전 장면에 짧게 등장했지만 그는 젊은 날 가수뿐 아니라 스크린에서 크게 활약했다.

’국제시장’을 계기로 오랜만에 영화를 봤다는 그는 “난 배우의 대사를 더빙하던 시대에 영화를 찍었다”며 “그렇게 촬영하다가 우리 영화가 기술적인 면에서 이렇게 발전한 지 몰랐다”고 감탄했다.

서울로 올라와 경복중학교를 다닌 그는 한양대학교 연극영화과로 진학했다.

그러나 학창 시절 즐겨 들은 엘비스 프레슬리, 냇킹 콜, 폴 앵카 등 팝스타들의 음악이 가수의 길로 인도해 1964년 ‘서울 플레이보이’로 데뷔했다.

1965년 트로트곡 ‘울려고 내가 왔나’로 이름을 알린 그는 잘생긴 외모 덕에 영화에도 캐스팅돼 주연으로 출연한 작품만 수십 편이다.

자신이 히트시킨 노래 ‘가슴 아프게’와 동명 영화인 1967년 ‘가슴 아프게’를 시작으로 영화 ‘그리움은 가슴마다’ 등을 흥행시켰다. 1969년 베트남전 참전 후 1971년 서울시민회관(현 세종문화회관)에서 성공적인 컴백 공연을 하고도 ‘어머님 전상서’, ‘아내여 미안하다’, ‘세노야 세노야’, ‘산녀’, ‘가수왕’, ‘숙녀 초년생’ 등 1970년대 다량의 작품에 출연했다.

당대 여배우 문희, 윤정희 등과도 호흡을 맞췄고 시대의 라이벌인 가수 나훈아와 함께 출연한 작품도 있다.

윤 감독이 “힘들고 어려운 시절 국민에게 즐거움과 행복을 준 세대인 남진-나훈아 선생님의 라이벌 시대를 언젠가 영화로 만들어보고 싶은 생각이 있다”고 말하자 남진은 그렇게 된다면 “내면적인 얘기가 다뤄졌으면 좋겠다”고 자신의 세밀한 이야기도 들려줬다.

남진은 “어머니는 서른 살 먹은 아들 따귀도 때리시던 분”이라며 “돌아가신 지 20년이 넘었는데 어머니 제삿날 빠지지 않고 하는 기도가 있다. ‘새끼 키워보니 어머니 맘 아프게 한 거 압니다. 미안합니다’라고 기도한다”고 말했다.

”제가 1남 3녀를 길렀어요. 큰 손주가 올해 5살이 됐습니다. 상을 많이 받아도 칭찬 한번 안 하시던 어머니가 딸 셋에 이어 아들을 낳자 ‘너도 이제 성공했다’고 말씀하시더군요. 하하.”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복자 의원(국민의힘, 동대문구 제4선거구)은 지난 1일 서울시립아동힐링센터(동대문구 답십리로69길 106) 개소식에 참석, 서울시의 아동에 대한 심리·정서 공공치료 기반 마련에 대한 기대와 환영의 뜻을 전했다. 서울시 아동양육시설 내 전체 아동 1591명 중 약 43%에 해당하는 679명이 정서적·심리적 집중 치료가 필요한 상황에서, 이번 센터 개소는 공공 차원의 본격적인 대응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는 ADHD, 우울, 외상 경험 등으로 치료가 필요한 아동을 대상으로 최대 6개월간 입소 치료를 제공하며, 심리상담사, 사회복지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놀이치료사 등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맞춤형 비약물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치료 종료 후 아동은 원래 생활하던 양육시설로 귀원하거나, 재입소할 수 있다. 신 의원은 축사에서 “서울시아동힐링센터는 단순한 보호시설을 넘어, 상처 입은 아동의 마음을 치유하고 회복의 기회를 제공하는 공간”이라며 “이곳에서 아이들이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을 키워나가길 진심으로 바란다”라고 전했다. 이어 “서울시가 정서적 돌봄을 제도화하고, 전문가의
thumbnail -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