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가 조덕현이 일민미술관에서 열고 있는 개인전 ‘꿈’에서 선보인 작품들은 가상의 인물 조덕현을 주인공으로 우리의 근현대사를 조명했다. 배우 조덕현을 모델로 한지에 연필로 드로잉한 작품 ‘청춘쌍곡선’에서 두 번째 줄 오른쪽 인물이 가상의 인물이다.
특유의 섬세한 회화 기법, 가상과 실제를 넘나드는 독특한 전시 구성으로 대중을 만나 온 중견 작가 조덕현(58)은 한국 근현대사를 관통하는 한 남자의 인생과 꿈에 접근하기 위해 작가와 동명이인을 인터넷에서 검색했다. 배우, 목사, 화가, 군인 등 다양한 연령과 직업의 사람들이 검색됐다. 작가는 영화배우 조덕현과 함께 가상의 인물 조덕현을 주인공으로 작업하기로 했다. 소설가 김기창이 합류해 가상 인물이 주인공이 되는 단편소설 ‘하나의 강’을 집필했다. 소설 속 가상 인물 조덕현은 1930년대부터 1950년까지 영화계에서 활동한 배우로 현실과 타협하고 시류에 편승하며 지극히 개인적인 삶을 살아간 인물이다. 말년에는 아들과의 불화로 독거노인으로 5년간 살다가 고독사한다. 그는 굴절된 한국 근현대사의 한 단면을 보여 준다.


가상의 인물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 ‘올드 상하이’와 ‘이 생명 다하도록’
작품들을 통해 질곡의 역사 속에서 파란만장했던 한 인물의 삶을 상상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우리가 살아온 역사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전시장 1층에 만들어진 집은 독거노인 조덕현이 살던 가상의 공간이다. 서울 인근 위성도시에 있는 주거지를 본떴고 세간살이는 해당 지역에 사는 노인들의 집에서 빌려 왔다.
작가는 “어머니가 요양원에서 오랫동안 식물인간처럼 누워 계셨다. 이렇게 산다는 것이 무슨 의미일까 생각하게 됐다. 서서히 퇴장하는 세대에게도 한번쯤 전성기가 있다. 그런 삶을 가상으로 꾸며 봤다”고 밝혔다.
오랜만에 갖는 회고전인 만큼 이번 전시는 가상 인물 조덕현의 삶을 드로잉, 설치, 영상 등의 작업으로 재현한 신작 외에 미술관 2전시실과 3전시실에서 과거의 대표 작품들을 아카이빙 형식으로 꾸며 보여 준다. 2층에는 2차원 평면의 사실적 묘사와 3차원의 오브제를 결합해 과거의 인물을 복원한 ‘오마주’(2011), 가상의 국가나 전설을 발굴한 ‘구림마을 프로젝트’(2000), 프랑스 국립 주드폼 미술관에서 선보였던 ‘아슈켈론의 개-낯선 신을 향한 여행’ 등을 선보인다. 3층에는 전시장을 대각선으로 가로지르는 폭 15m의 흰 천에 식물의 그림자들이 마치 수묵화처럼 보이게 하는 작품 ‘음의 정원’을 설치했다. 현대음악가 윤이상의 음악을 시각적으로 해석한 작품이다. 작가는 “1층 전시는 서사가 강한 반면, 3층은 서정으로만 채웠다. 음악과 미술이 서로 맞물려 호환되는 접점을 찾으려 했다”고 설명했다. 전시는 10월 25일까지.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