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펙보다는 실무역량을 중시하는 취업시장의 요구에 맞춰 정부에서도 관련 무료교육을 진행하는 등 인문계열 취업력 강화에 힘을 보태고 있다. 대표적으로 한국산업인력공단은 인문계 청년들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인문계 특화 청년취업 아카데미’를 기획·운영하고 있다.
취업포털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4년 기준 4년제 대학 졸업자 취업률은 인문 45.5%, 사회 54.1%로, 공학(65.6%)이나 자연(52.3%) 계열 취업률보다 현저히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낮은 취업률에 인문계열 학생들은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스펙 쌓기에 열을 올린다. 극심한 취업난으로 인해 심리적 불안감이 커져 상대적으로 정량화하기 쉬운 스펙에 매달리는 안타까운 상황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해 11월 발표한 ‘취업 시장에서의 스펙에 대한 국민인식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스펙을 갖추는 데만 80.2%의 학생이 최소 1년 이상 걸렸고, 20.5%는 스펙을 쌓는 데만 2년의 시간을 소요했다.
전문가는 “49개 기업의 172개의 채용 분야에서 전공, 자격증, 어학성적 등 스펙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류 통과 진입장벽이 낮아진 만큼, 이제 구직자들은 면접장에서 효과적으로 본인의 실무역량을 드러내야 할 필요성이 커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펙보다는 실무역량을 중시하는 취업시장의 요구에 맞춰 정부에서도 관련 무료교육을 진행하는 등 인문계열 취업력 강화에 힘을 보태고 있다. 대표적으로 한국산업인력공단은 인문계 청년들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인문계 특화 청년취업 아카데미’를 기획·운영하고 있다.
인문계열 학생들에게 IT융합 기초 실무역량을 강화하는 과정을 개설한 한국산업인력공단은 다가오는 12월, 취업전선에 뛰어들 대학교 2, 3학년 학생들을 위한 인문계 특화 단기과정을 진행한다.
운영과정에는 ‘빅데이터 인문융합 큐레이터 과정’과 ‘SAP를 활용한 경영시스템 설계전략 전문가 과정’ 등 현장실습 중심의 교육이 대거 포함됐다. 관련 과정은 현재 80%가 넘는 대다수의 대기업들이 사용하고 있는 소프트웨어들을 실제 다뤄보는 현장실습 중심의 교육으로, 실무 현장감이 부족한 인문계열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교육으로 손꼽힌다.
채홍미 전문위원은 16일 “교육을 이수한 이후 수강생들이 취업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고민 중에 있다”면서 “앞으로도 인문계 전공 청년들의 취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생산성본부는 해당 연수과정 중 추가 희망 수요가 많은 인문대 특화 과정을 중심으로 단기과정을 추가 운영한다. 단기과정은 12월 19일 동계방학기간에 개강하여 1월까지 진행되며, 오는 12월 12일까지 수강생을 모집한다. 단기과정 수강신청은 한국생산성본부 홈페이지 또는 참여 대학(서강대 ,한국외대(서울) 취업지원팀)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