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에서 반바지 입었어요”…이상기온, 지구 신기록 수준

“남극에서 반바지 입었어요”…이상기온, 지구 신기록 수준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3-09-26 15:11
수정 2023-09-26 17: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남극 ‘이상고온’, 지구 신기록 수준
남극 해빙 빠르게 손실
해빙 깨지며 펭귄 익사

이미지 확대
미국 메릴랜드대 항공우주학과 토마스랩스 교수가 미국의 남극기지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할 당시 찍은 사진. 미국 메릴랜드대 홈페이지
미국 메릴랜드대 항공우주학과 토마스랩스 교수가 미국의 남극기지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할 당시 찍은 사진. 미국 메릴랜드대 홈페이지
지난해 남극에 닥친 이상고온이 지구 신기록 수준이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6일(한국시간) 미국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미국 워싱턴대학교의 지구과학자 에드워드 블랜처드-리글워스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난해 3월 남극 기온을 조사한 이 같은 보고서를 미국 지구물리학회(AGU) 회보에 게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월 남극 동부 해안에서 기록된 기온이 평년보다 무려 섭씨 39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극에서 3월은 가을에 들어가는 시점으로 평년기온은 영하 50도 정도이지만 작년 3월 18일은 영하 10도까지 치솟았다.

당시 남극에 있던 연구원들이 비교적 온난한 날씨에 웃통을 벗거나 반바지 차림으로 다니기도 했다고 보도했다.

블랜처드-리글워스는 “괄목할 사건”이라며 “이상기온의 정도가 세계 다른 어떤 곳에서 측정된 것보다 컸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남극 주변 바람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불어 북쪽에 있는 온기를 차단해 낮은 기온을 유지하는데, 당시 바람이 길을 잃으면서 불과 4일만에 호주 남부의 따뜻한 공기가 유입됐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상 기후변화가 남극의 이상고온 현상에 미치는 뚜렷한 영향을 찾지 못했다. 다만 기후변화가 남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계속 조사중이다.

연구팀은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여부에 따라 컴퓨터로 모델 분석을 한 결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섭씨 2도 정도 증가시키는 것을 발견했다.

또 향후 기후변화가 남극의 온도를 섭씨 5~6도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브랜처드-리글워스는 “만약 5~6도가 더 높아진다면 녹는점에 가까워지는 것”이라며 “만일 이런 폭염이 더 흔해진다면 우리가 예상하지 못한 결과가 나타날지도 모른다”고 했다.
이미지 확대
남극의 빙하가 녹으면서 펭귄이 물에 떨어져 익사하는 일이 종종 발견됐다. 사진은 남극의 펭귄들. AFP 연합뉴스
남극의 빙하가 녹으면서 펭귄이 물에 떨어져 익사하는 일이 종종 발견됐다. 사진은 남극의 펭귄들. AFP 연합뉴스
남극 해빙 빠르게 손실…해빙 깨지며 펭귄 ‘익사’기후 변화로 황제펭귄 서식지인 남극 해빙이 녹으면서 지난해에만 서식지 5곳에서 새끼 펭귄 약 9000마리가 사망했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황제펭귄이 지금과 같은 속도로 서식지를 잃으면, 오는 2100년에는 무리 중 90%가 번식에 실패해 멸종 직전까지 몰릴 수 있다. 남극 해빙은 2016년부터 급격하게 감소해 지난해 사상 최소 면적을 경신했다.

황제펭귄은 대부분 생애를 육지가 아닌 해빙에서 보낸다. 해빙이 두꺼워지는 3월 말에서 4월 중 번식지에 도착해 5월에서 6월 사이에 알을 낳으면, 수컷 황제펭귄은 65일간 자신의 발 위에 알을 올려 품는다.

갓 태어난 새끼 펭귄은 수영을 할 수 없다. 1월은 돼야 방수 깃털을 갖추고 수영을 배워 독립할 수 있다.

그 전에 해빙이 깨지면, 헤엄을 못 치는 새끼 펭귄은 바다에 빠져 익사나 동사 할 수밖에 없다. 황제펭귄이 번식에 성공하려면 4월부터 1월까지 서식지 해빙이 안정적으로 유지돼야 하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남극 해빙의 유실 속도가 빨라지면서 지난해에만 9000여 마리의 새끼 펭귄이 죽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남극 서식지에서 성장하고 있는 새끼 황제펭귄의 모습. 영국남극연구소(BAS)
남극 해빙의 유실 속도가 빨라지면서 지난해에만 9000여 마리의 새끼 펭귄이 죽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남극 서식지에서 성장하고 있는 새끼 황제펭귄의 모습. 영국남극연구소(BAS)
연구팀은 해마다 각 서식지에서 새끼 펭귄 1200~3500마리가 태어난 것으로 분석했지만, 지난해에는 브라이언트반도를 제외한 나머지 서식지에서는 흔적을 찾을 수 없었다.

해빙이 평년보다 일찍 녹으면서 성체 펭귄들은 자리를 옮길 수 있었던 반면, 갓 태어난 새끼 펭귄들은 살아남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