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달 29일까지 ‘아트스펙트럼2014’ 송호준 등 젊은 유망 작가 10명 참여
가로, 세로, 높이 각 10㎝, 무게 1㎏의 정육면체에 5년이란 시간을 쏟아부었다. 2억원이란 엄청난 돈도 탕진했다. 시작은 단순했다. 인공위성 업체에서 일하다 관심을 기울였고, 직접 위성을 띄우고 싶다는 욕망이 생겼다. 위성을 싣고 떠날 로켓 임대료를 알아보고 “생각보다 저렴하다”며 스스로 위로까지 했다. 그렇게 엄청난 프로젝트에 불을 댕겼다. 지난해 4월 19일 프랑스 인공위성 발사 대행사의 도움을 얻어 허무맹랑한 꿈을 영화처럼 현실로 만들었다.
작가는 다음 달 29일까지 서울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이어지는 ‘아트스펙트럼2014’전에서 ‘인공위성 퀴즈쇼: 통신모듈 편’을 선보인다. 인공위성의 뱃속을 고스란히 드러내 르네상스 시대 이전까지 한 몸이었던 과학과 예술의 의미를 되새긴다. 퀴즈쇼라는 설명처럼 작가의 전시에는 ‘전파의 속도는?’, ‘인공위성 주파수는 인공위성을 쏘는 날로부터 몇 년 전에 등록해야 하나?’ 등의 알쏭달쏭 질문이 잇따른다.
학부와 대학원에서 전기·전자·전파공학을 공부한 그는 “인공위성이 우리 삶의 일부라는 것을 말하고 싶었다”고 했다. 그에게 예술은 재미있고 상상력 넘치는 일종의 코스프레다.
이번 전시에선 송호준을 비롯해 이완(35), 김민애(33), 박보나(37), 심래정(31), 이은실(31), 장현준(32), 정희승(40), 제니 조(29), 천영미(36) 등 젊은 작가 10명이 참여했다.
이완은 영상작품과 설탕, 스푼, 그릇 등으로 이뤄진 ‘메이드 인 대만’을 통해 근대사와 복잡한 상품의 생산 구조를 더듬는다. 그는 “당근 주스에 들어가는 설탕을 만들기 위해 설탕의 산지인 대만으로 날아가 사탕수수밭에서 수수를 채취했다”고 말했다. 그렇게 한 숟가락의 설탕을 직접 만들었고, 그 과정을 작품에 담았다.
김민애는 진짜와 가짜 에스컬레이터를 함께 배치해 교묘히 건축과 예술의 구분을 뒤흔든다. 이은실은 전통 가옥의 해체와 동물의 교미를 연관시켜 금기와 허울을 벗어난 본연의 모습을 일깨운다. 박보나는 배우와 가수, 개그맨 3명이 풀어놓는 오디션 경험을 인터뷰 영상에 담았다.
이번 출품작들은 회화, 조각, 사진, 설치, 영상, 퍼포먼스에 걸쳐 다양하다. 주제도 부모와의 관계부터 거시적인 정치·경제까지 폭넓다. ‘아트스펙트럼’전은 리움이 호암갤러리 시절이던 2001년 시작해 격년제로 열어온 한국 현대미술의 자화상이다. 국제 무대에서 성장 가능성 있는 젊은 작가를 소개하는데, 지금까지 이형구·문경원·김성환·김범·김아타 등 38명의 작가가 거쳐갔다.
미술관 관계자는 “올해는 개관 10주년을 맞아 참여작가 중 1명을 선정해 상금 3000만원을 지급하고 플라토에서 개인전을 열 계획”이라고 전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5-08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