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옹~ 우리 몸짓에 인간의 삶 투영하죠”

“야옹~ 우리 몸짓에 인간의 삶 투영하죠”

입력 2014-06-05 00:00
수정 2014-06-05 03: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6년 만에 내한한 뮤지컬 ‘캣츠’ 주인공 에린 코넬·얼 그레고리·안무가 에마 델메니코

공연에 앞서 분장을 하는 데만 길게는 한 시간이 걸린다. 배우들이 직접 얼굴에 색색의 털과 고양이 수염을 그려넣고, 고양이 귀처럼 빳빳하게 위로 솟은 가발을 쓴다. 개성 있는 털이 달린 옷을 입고 고양이 꼬리를 달고 나면 배우들은 ‘고양이 분장을 한 사람’이 아니라 고양이다. 공연이 끝날 때까지 무대가 아닌 곳에서도 고양이처럼 행동한다. 끊임없이 발등을 핥고, 얼굴을 긁으며, 서로를 비비는 ‘고양이 몸짓’은 분장실과 무대를 가리지 않는다. 무대 밖에서도 암컷들에게 인기 있는 수고양이 ‘럼 텀 터거’처럼 한껏 거들먹거리고, 한때 아름다웠지만 이제는 늙고 외로운 ‘그리자벨라’는 연습실과 분장실에서도 홀로 있다. 끝까지 배역의 섬세한 모습과 감정을 끌고 가기 위한 장치이자, 뮤지컬 ‘캣츠’(작은 사진)에 감탄하는 이유다.
이미지 확대
인터뷰 내내 유쾌한 몸짓을 보여준 뮤지컬 ‘캣츠’의 에마 델메니코(상주 안무가), 얼 그레고리(럼 텀 터거 역), 에린 코넬(그리자벨라 역). 서울 공연에 앞서 경기 안산문화예술의전당에서 프리뷰 공연한 이들은 “마치 록콘서트를 연상시킬 정도로 갈채와 환호를 보내준 관객들의 열정에 놀랐다”면서 한껏 들뜬 모습이었다. 설앤컴퍼니 제공
인터뷰 내내 유쾌한 몸짓을 보여준 뮤지컬 ‘캣츠’의 에마 델메니코(상주 안무가), 얼 그레고리(럼 텀 터거 역), 에린 코넬(그리자벨라 역). 서울 공연에 앞서 경기 안산문화예술의전당에서 프리뷰 공연한 이들은 “마치 록콘서트를 연상시킬 정도로 갈채와 환호를 보내준 관객들의 열정에 놀랐다”면서 한껏 들뜬 모습이었다.
설앤컴퍼니 제공


3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블루스퀘어 드레스서클에서 만난 ‘캣츠’의 주역들과 상주 안무가는 “정말 힘들다”며 장난기 가득한 얼굴로 한숨을 내쉬었다. 안무가로서, 상황에 따라 스윙(대역)으로 무대에 오르는 에마 델메니코(32)는 “아침에 일어나면 집에 가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할 때가 있다. 그런데 무대에 오르면 모든 게 사라진다”면서 “‘캣츠’에 참여한다는 것 자체가 굉장한 영광”이라고 했다.

‘영광’이라는 말은 과장이 아니다. 1977년 작곡가 앤드루 로이드 웨버는 T S 엘리엇의 우화집 ‘지혜로운 고양이가 되기 위한 지침서’(1939)를 무대화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여기에 제작자 캐머런 매킨토시가 가세하면서 1981년 5월 영국 런던에서 ‘캣츠’의 막이 올랐다. 이후 2002년 5월까지 21년 동안 8950회 공연됐고 미국 브로드웨이에서는 1982~2000년 7485차례 무대에 올랐다. ‘캣츠’가 33년간 30여 개국에서 공연을 이어가는 동안 웨버와 매킨토시는 세계 뮤지컬의 거장이 됐다.

‘캣츠’가 꾸준한 사랑을 받는 비결에 대해 에린 코넬(28)은 “음악 자체의 힘”을 꼽았다. 코넬이 맡은 ‘그리자벨라’는 뮤지컬을 보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익숙한 노래 ‘메모리’를 부르는 고양이다. “웨버의 음악을 들으면 소름 끼칠 정도로 좋다”는 코넬을 거들며 에마는 “초연 당시 관객을 사로잡은 음악이 여전히 아름답다는 건 시대를 초월해 공감을 일으킨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뮤지컬 ‘캣츠’
뮤지컬 ‘캣츠’


매력 넘치는 고양이 럼 텀 터거를 연기하는 얼 그레고리(31)는 “언어와 나라의 장벽을 넘은 몸짓이야말로 작품의 강점”이라고 했다. ‘캣츠’에 나오는 고양이는 ‘30마리’다. 각자 사연과 역할이 있다. 소외된 노년(그리자벨라)과 부유한 삶(버스토퍼 존스)이 있고, 선지자(올드 듀터러노미)와 악(매캐버티)과 질서(스킴블샹스)가 존재한다. 고양이 세계에 투영된 인간의 보편적 삶인 셈이다. 전체 흐름은 그들의 대화를 이해해야 잡히지만, 각 캐릭터의 성격은 이들의 몸짓만으로도 분명히 드러난다. 물론 이렇게 되기까지 체계적인 연습 과정을 거쳤다.

“배우 중에 고양이를 기르는 사람들이 많다”는 그레고리는 “평소에도 실제 고양이의 움직임을 보면서 따라하고, 거울을 보면서 내게 어떤 표정이 어울리는지 끊임없이 연습한다”고 소개했다. “연습을 시작한 지 2주가 지나면 연출가가 각 배우들에게 형용사 3개를 준다. 예를 들면 ‘게으르고, 에너지 넘치고, 폭력적인’이라는 걸 받으면 그걸 제대로 표현해 내야 그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델메니코는 “어느 배우가 어떤 단어를 가졌는지 전혀 공유할 수 없다. 자신만의 캐릭터를 가져야 하기 때문”이라고 덧댔다.

이들이 만드는 개성 넘치는 고양이들은 오는 13일부터 블루스퀘어 삼성전자홀에서 만날 수 있다. 6년 만에 올리는 이번 오리지널 공연에는 호주·남아공·영국에서 오디션을 거쳐 선발된 배우들이 뭉쳤다. 8월 24일까지. 5만~14만원. 1577-3363.

최여경 기자 cyk@seoul.co.kr
2014-06-05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