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부터 역사박물관 ‘안중근 특별전’
“자라면서 증조할아버지의 정신에 대해 아버지께 많이 들었습니다. 태어나기 훨씬 이전에 돌아가셨지만 증조할아버지의 정신은 제 기억에 오롯이 새겨져 있습니다. 아버지께서는 증조할아버지에 대해 말씀하시며 늘 명예와 자주성을 중요하게 여기라고 강조하셨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안중근 의사 특별전 개최를 하루 앞둔 30일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안 의사의 외손녀 황은주(앞줄 왼쪽)씨와 증손자 안도용(오른쪽)씨가 전시품들을 둘러보며 할아버지를 추억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이날 함께 참석한 외손녀 황은주(87)씨는 외할아버지의 유해가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하는 현실을 가슴 아파했다. “외할아버지의 마지막 유언은 ‘한국이 독립되면 조국에 묻어 달라’는 겁니다. 광복 70주년이 되고 순국하신 지 100년이 넘도록 외할아버지 유해를 고국에 모셔 오지 못하고 있어요. 일본에서 외할아버지를 묻은 장소를 밝히지를 않아요. 해마다 유해 없이 추모식을 올리는 게 너무 안타깝습니다.” 일본은 1910년 3월 26일 이토 히로부미 암살 죄로 안 의사를 사형한 이후 시신을 극비리에 뤼순 감옥 인근 야산에 매장했다. 지금까지 그 위치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안 의사 특별전 ‘울림, 안중근을 만나다’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 1층 기획 전시실에서 31일부터 6월 7일까지 진행된다. 3부로 이뤄져 있으며, 하얼빈 의거 전후 안 의사의 모습을 조명하는 자료들로 가득하다. 1부 ‘하얼빈 역에 울린 총성’에선 의거 사실을 묻는 전보, 의거 다음날 발행된 경성일보 호외 등을 통해 애국계몽운동에서 의거에 이르기까지 국권회복에 노력한 안 의사의 삶의 여정을 보여준다. 2부 ‘뤼순에 울린 외침’은 필사본 ‘동양평화론’ 등 안 의사가 재판정에서 밝힌 의거 목적과 동양 평화에 대한 염원을 엿볼 수 있는 자료들로 꾸며졌다. 3부 ‘가슴에 품은 사진 한 장, 대한국인 안중근’은 전기, 영화 등을 통해 안 의사를 기리는 우리의 모습을 되새겨 보는 자료들로 채워졌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3-3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