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꽃 사이사이 가짜 꽃 허구·진실 얽힌 삶 보는듯

진짜 꽃 사이사이 가짜 꽃 허구·진실 얽힌 삶 보는듯

함혜리 기자
입력 2016-07-05 17:52
수정 2016-07-05 17: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내일부터 ‘꽃 화가’ 박종필 개인전

화가 박종필(39)은 작가로서 연륜이 그리 길지 않지만 그의 작품은 한눈에 알아볼 수 있을 만큼 독특하다. 핑크, 보라, 빨강, 오렌지색의 꽃들은 저마다 화려한 색상과 자태를 뽐내며 절정의 아름다움으로 눈을 즐겁게 한다.

이미지 확대
박종필 작가의 개인전 전시장 전경.
박종필 작가의 개인전 전시장 전경.
과장된 크기이지만 지극히 사실적으로 그려진 아름다운 꽃들에는 비밀이 숨겨져 있다. 어느 게 진짜고, 어느 것이 가짜인지 육안으로는 쉽게 구분할 수 없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진짜 꽃들 사이사이에 가짜 꽃을 교묘하게 배치해 우리의 시선을 교란시킨다.

작가는 “진실과 거짓, 실제와 허구가 뒤섞여 있는 삶의 모호함과 인간의 양면성을 진짜 꽃과 가짜 꽃을 통해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한다. 단순히 우리 눈을 혼란시키려는 것이 아니라 실제의 이미지와 가짜의 이미지를 중첩시켜 그 ‘사이’에 대해 이야기하려는 것이다.

●자연 vs 인공미 ‘친숙하지 않은 아름다움’

서울 강남구 청담동 박여숙 갤러리에서 7일부터 열리는 그의 개인전 제목은 ‘친숙하지 않은 아름다움’이다. 싱싱하게 핀 생화의 자연스러움과 억지스럽게 과장된 조화의 인공스러움이라는 양 극단에서 우리는 순간적으로 낯선 심리적 반전을 경험하기에 붙인 제목이다.

“무엇이 옳고, 무엇이 그르다는 판단을 제시하려는 것이 아니라 현상 그 자체를 직시하는 것”이라는 그의 작품은 확실히 아름답지만 그 이면에 숨겨진 메시지가 자못 심각하다. 이미지의 홍수 시대를 살면서 자칫 가짜에 정신을 빼앗겨 버리고 마는 세상 사람들을 질타하는 것 같다.

이미지 확대
‘친숙하지 않은 아름다움’이라는 제목으로 개인전을 열고 있는 박종필 작가가 작품 ‘비트윈더프레쉬’옆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친숙하지 않은 아름다움’이라는 제목으로 개인전을 열고 있는 박종필 작가가 작품 ‘비트윈더프레쉬’옆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전북 정읍에서 올라와 홍익대 미대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2008년부터 본격적으로 작가의 길을 걷고 있는 그는 케이크나 캔디 같은, 누구나 알아볼 수 있는 친숙한 모티프를 통해 욕망의 아이러니를 표현했다. 2010년부터 꽃에 집중하고 있는 그에게 케이크에서 꽃으로 바꾼 이유를 묻자 “케이크를 다 먹기가 힘들어서였다”며 순박한 미소를 날린다.

●밤 12시에 꽃 사와 12시간 세세한 붓질

그의 작업은 밤 12시에 문을 여는 고속터미널 꽃시장에서 꽃을 고르는 것으로 시작된다. 줄을 섰다가 문 여는 시간에 들어가 마음에 드는 꽃을 사고, 그것과 어울리는 다른 꽃들을 산다.

작업실로 돌아와 오아시스에 꽃을 꽂고 사이사이에 조화를 섞은 뒤 한창 아름답게 피었을 때 사진을 찍고 그것을 캔버스에 옮긴다. 마치 수행하듯이 하루에 12시간 정도를 캔버스 앞에서 붓질을 해도 워낙 꼼꼼하게 디테일을 표현하다 보니 큰 그림 하나 완성하는 데 대략 3개월 정도, 작은 그림도 한 달 정도 걸려야 완성된다.

“‘그림을 그리는 행위’를 통해 이미지의 속성을 사유하며 경계에 선 우리의 모습을 그대로 옮기는 것”이라는 그에게 잘나가는 작가들의 위작과 대작(代作) 논란으로 시끄러운 세상은 무의미해 보인다. 전시는 오는 29일까지.

글 사진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6-07-06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