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동안 이웃의 얼굴을 사진기에 담은 ‘자갈치 아저씨’ 최민식(1928~2013)은 다른 이의 삶을 들여다보는 또 하나의 방식을 전했다. 아동문학가 이오덕(1925~2003)은 아이들에게 글짓기가 아닌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녹여내는 글쓰기를 가르쳤고, 전쟁에서 아들을 잃은 케테 콜비츠(1867~1945)는 거친 판화로 가난하고 굶주린 이들과 어머니들의 현실을 알렸다. 미국 뉴욕의 한 로스쿨에서 시작된 ‘이노센트 프로젝트’는 억울하게 누명을 쓴 이들에게 자유를 안겼고, 새로운 유토피아 오로빌은 경쟁과 매연에서 벗어난 삶을 보여주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EBS가 2005년 9월부터 꾸준히 선보이고 있는 다큐멘터리 ‘지식채널ⓔ’는 단 5분짜리지만, 그 강렬함은 대자연을 담은 장편 다큐멘터리 못지않다. 간결한 영상과 음악의 조화는 메시지를 더 확실하게 부각시키고 울림을 키웠다. 신간 ‘지식ⓔ inside’는 그동안 방송한 내용 가운데 ‘공존하고 공감하며 공생하려고 했던’ 이들을 모은 책이다. 최민식, 이오덕, 콜비츠뿐 아니라 일제가 제멋대로 분류한 조선 나비들에게 우리 이름을 지어준 나비학자 석주명, 참혹한 인생에서 치열한 창작의 원동력을 찾은 프리다 칼로, 연대와 협력의 상징이 된 칠레 광부 33인, 평등과 인권의 대상으로서 ‘모든 사람’ 등을 불러낸다.
글과 사진으로 풀어낸 방송 내용에 당시 시사적 이슈와 인물 해석을 덧붙였다. 그들의 이야기에서 ‘짧고 굵게’ 오늘의 삶을 되돌아볼 수 있다.
최여경 기자 cyk@seoul.co.kr
2014-07-26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