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문 등 도예가 30명 작품전
막걸리와 막사발은 이름 말고도 닮은 점이 많다. 전통적으로 막걸리는 농부의 술이었고, 막사발은 밥과 국을 담던 서민의 생활그릇이었다. 산업화 과정에서 밀려나 한동안 푸대접을 받은 처지도 비슷하다.
명품 막걸리 막사발의 부활을 위해 도예가들이 뭉쳤다. 서울 관훈동 K갤러리에서 24일까지 열리는 ‘막걸리 막사발전’은 김원주, 홍준기, 이수천 등 30명의 도예가들이 정성껏 빚어낸 형형색색의 막걸리잔을 선보이는 자리다.
10년 넘게 사비를 털어 세계막사발축제를 열고 있는 막사발 장인 김용문 도예가가 주축이 됐다. 그는 “막걸리가 한국인과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으면서 와인처럼 세계적 브랜드로 자리잡을 날도 멀지 않았다.”면서 “그에 걸맞은 막걸리를 담는 그릇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대량생산 제품이 아닌 도예가들의 수공예 작품을 전시하게 됐다.”고 기획 의도를 설명했다.
전시된 막걸리 막사발들은 실용성을 갖춘 생활도자로서의 미덕뿐 아니라 독창적인 기법과 장식으로 보는 즐거움을 더한다.
김용문 도예가는 “막걸리 막사발전이 도자문화와 막걸리문화에 새바람을 일으키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02)764-1389.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0-08-20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