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대변인 시절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암살 미수 현장에서 총상을 입고 여생을 총기 규제에 헌신한 제임스 브래디가 세상을 떠났다. 5일 CNN은 건강 문제를 겪고 있던 브래디가 73세를 일기로 별세했다고 보도했다.
이미지 확대
제임스 브래디 前백악관대변인 AP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제임스 브래디 前백악관대변인 AP 연합뉴스
브래디는 1981년 워싱턴 호텔 앞에서 레이건 대통령을 노린 존 힝클리의 총탄을 맞고 다친 4명 중 한 명이다. 사건 발생 직후 언론은 그가 숨졌다고 잘못 보도했다. 그는 당시 머리에 심각한 부상을 입고 왼쪽 몸이 마비돼 평생 휠체어에 의지하며 살아야 했다.
레이건 대통령과 브래디에게 총을 쏜 힝클리는 정신질환자로 판정돼 무죄를 선고받았다. 이를 계기로 브래디는 백악관을 나온 뒤 ‘총기 폭력을 막는 브래디 캠페인’을 시작했다. 브래디의 노력으로 1993년 총기 구매 전 신상 조사를 실시하도록 하는 법안이 의회를 통과해 빌 클린턴 대통령의 서명을 받았다. 이 법안은 그의 이름을 따 ‘브래디법’으로 불리게 됐다.
그의 이름은 백악관 대변인실의 브리핑실에도 붙어 있다. 정부는 브래디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레이건 대통령 임기인 1989년 1월까지 그의 대변인직을 유지시켰다. 백악관 언론 브리핑실의 이름은 ‘제임스 브래디 프레스 브리핑룸’이다.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