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출 청소년과 고아들을 돌보는 데 헌신했던 ‘중국 부랑아의 대부’ 정청전(鄭承鎭)이 지난 14일 천식 등 병환으로 숨졌다고 산동신문이 15일 보도했다. 63세인 그는 1987년부터 23년간 산둥성 성도 지난(濟南)에서 길거리를 떠도는 어린이 400여명을 친자식처럼 보살피며 가정과 사회로 돌려보냈다. 병석에 누운 지난 6월 이후에도 마지막까지 9명의 어린이를 챙겼다.
정청전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정청전
30㎡가 채 안 되는 그의 단칸방은 언제나 아이들로 넘쳐났다. 폐지 등을 주워 생활하면서도 길에서 떠도는 아이들을 만나면 일단 집으로 데려와 설득해 집으로 돌려보내고, 천애고아들은 직접 거둬 쪽방에서 함께 지냈다. 학교를 찾아다니며 아이들이 학비를 면제받아 학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부족한 생활비는 자신의 피를 팔아 충당하기도 했다. 결혼을 하면 아이들을 돌보는 데 소홀해질 것을 우려, 아예 독신을 고집했다. 생전의 그는 한 인터뷰에서 “만약 반려자를 찾는다면, 그녀는 반드시 이 일을 지지해 줘야 한다. 아이들 문제로 소란을 피워서는 안 된다.”고 단언했다.
그의 아낌없는 보살핌 속에 이상도 꿈도 없었던 부랑 청소년들은 건강하게 사회의 품으로 돌아갔다. 그에게는 산둥성 ‘제1의 미성년자 보호인’이라는 칭호가 따라붙었다. 선행이 알려지면서 이웃들도 음식을 나눠주는 등 힘을 보탰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0-11-1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