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우 LH 사장 등 임직원과 ‘건설명장’들이 지난달 24일 경기 하남지구에서 열린 건설품질명장 출범식에서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LH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박상우 LH 사장 등 임직원과 ‘건설명장’들이 지난달 24일 경기 하남지구에서 열린 건설품질명장 출범식에서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LH 제공
7일 한수원에 따르면 최근 제1차 일자리위원회를 열어 일자리 중심의 업무 추진 계획을 수립했다. 앞서 한수원은 지난 8월 일자리위원회를 구성한 뒤 4개 분과(공공, 민간일자리, 기간제, 파견·용역)별로 추진 계획을 가다듬었다.
특히 한수원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은 정부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차질 없이 진행하기로 했다. 원전 안전과 신재생에너지 등 신규 사업을 개발해 민간 일자리 창출을 활성화하는 데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사내벤처 육성형 창업지원제도를 신설하고, 원전 지역에 협동조합을 육성하는 방안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한수원은 또 본사가 위치한 경북 경주시에 에너지 관련 기업을 유치하는 데도 나서고 있다. 이를 위해 임차료를 보조하고 입찰 때 혜택을 주고 있다. 한수원이 지난해 3월 경주로 이전한 이후 이 지역으로 옮겼거나 이전을 추진하고 있는 에너지 관련 협력사가 60여곳에 이른다. 경주시와 협력해 2020년까지 115개 기업을 유치해 2000여명의 인력을 끌어들이고 지역 주민 500여명을 채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관섭 한수원 사장은 “일자리 창출은 지역과 소외계층에게 실질적인 일자리 창출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부서 간 협업과 외부와의 소통을 강화해 일자리 관련 업무를 정교하게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7-12-0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