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씨가 말랐다… 몸값이 금값

[커버스토리] 씨가 말랐다… 몸값이 금값

입력 2014-10-11 00:00
수정 2014-10-11 03: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름값하는 2014 가을 전어

가을 전어(錢魚)가 비싼 몸값을 뽐낸다. 제철을 맞아 소비가 늘어난 반면, 많이 잡히지 않기 때문에 고등어·갈치 뺨칠 정도다. 전어 시장은 연간 100억~300억원 규모지만 올해엔 어민과 소비자 모두 울상이다.

이미지 확대
10일 해양수산부와 수협 위판장에 따르면 올 들어 8월 말까지 전어 어획량은 6111t(77억 1541만원어치)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올 9~10월 어획량이 예년 같은 기간에 비하면 절반을 훨씬 밑돌 것으로 보여 올해 전체를 따져도 지난해 어획량 8695t(180억 9851만원어치)을 도저히 따라잡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지난해 전체 어획량은 8695t, 2012년엔 1만 1002t(197억 5348만원어치)을 기록했다.

올 가을철 전어 흉어는 지난해에 견줘 더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9월과 10월 어획량은 561t과 586t으로, 2012년 1099t과 721t보다 각각 538t과 135t이나 줄었다. 어획 감소 심각성은 현장에서 금세 알 수 있다. 경남 사천시 서포면 다평마을 김종근(57) 어촌계장은 “예년엔 작은 배 한 척으로도 하루 100㎏쯤 잡아 100만원 이상 수입을 올리곤 했는데 요즘은 10㎏ 건지기도 어려워 경비도 뽑지 못한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전국 어획량의 70%를 차지하는 경남지역에서 눈에 띄게 감소해 품귀 현상마저 빚고 있다. 먼저 지난 8월 말 남부지방을 강타한 집중호우에 이어 9월엔 태풍까지 덮치는 바람에 조업일수가 크게 줄었다. 여기에 남해안의 적조 현상으로 전어 주산지인 경남 진해, 삼천포 등에서 어획량이 뚝 떨어졌다.

이를 반영하듯 경남 창원시 진해구의 산지 거래 가격은 지난달 ㎏당 3만원까지 치솟았다. 이달 들어 2만 5000원으로 떨어졌지만 여전히 비싸다. 진해구 경화동 이연진(52) 어촌계장도 “해군 기지사령부가 2012년부터 군항 안 전어잡이를 강력히 단속해 전어 품귀 현상을 빚었다”면서 “해군이 단속을 강화하기 전에는 군항 안으로 가끔 들어가 배 한 척이 하루 500~700㎏씩 잡아 300만~500만원의 수입을 올리기도 했다”고 밝혔다.

김희용 국립수산과학원 연구사는 “지난 15년간의 전어 어획량을 분석한 결과 늘어난 해도 있고 줄어든 해도 있어 전체적인 감소세는 아니다”라며 “수온과 적조 등 해마다 조업 당시의 바다 환경 등이 어획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창원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2014-10-11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