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응원단 규모 등 합의 실패
북한 선수단·응원단의 9월 인천아시안게임 참가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17일 남북 실무접촉이 결렬됐다.
연합뉴스
북한 선수단·응원단의 인천 아시안게임 참가 관련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남북 실무접촉이 열린 17일 우리 측 수석대표인 권경상 인천아시아경기대회 조직위 사무총장이 정부서울청사에서 회담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날 우리 측에서는 권경상 인천아시아경기대회 조직위원회 사무총장과 정기영 조직위 국제본부장, 김영일 조직위 자문위원이, 북측은 손광호 올림픽위원회 부위원장 겸 서기장과 장수명·고정철 등이 각각 대표로 참석했다. 모두 세 차례 회의를 열어 오후 5시 40분쯤 종료됐다.
북한이 밝힌 700명의 파견 인원은 국내에서 열리는 국제대회에 북한이 참가한 사례 가운데 가장 큰 규모다. 이날 북측은 “선수단은 서해직항로를 통한 고려항공 비행기편으로, 응원단은 경의선을 통해 육로로 입경하고 인천항에 ‘만경봉 92호’를 정박시켜 응원단 숙소로 이용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북한 선수단·응원단의 비용 문제와 관련, 회담 당국자는 “북측은 제반 사안의 편의를 요구했고, 우리는 국제관례에 따르는 것이 맞고 협의할 수 있다는 뜻을 전했다”고 밝혔다. 정부와 조직위는 예상보다 많은 인원이 사실상 육·해·공을 모두 이용해 대회에 참가하겠다는 북측 제안을 사전에 파악하지 못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북한은 앞서 지난 7일 ‘공화국 정부 성명’을 통해 남북관계 개선과 민족 단합의 분위기를 마련하겠다며 선수단·응원단의 파견 결정 사실을 통보하고 관련 회담을 남측에 먼저 제의해 이날 만남이 이뤄졌다. 남북이 체육 분야 회담을 가진 것은 2008년 2월 베이징올림픽 남북응원단 관련 제2차 실무접촉 이후 6년 5개월여 만이다.
안석 기자 ccto@seoul.co.kr
2014-07-18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