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총리 위상 확보 시급…당정청 조율사 역할수행 주목공직기강 쇄신· 국정성과 도출 과제…인준과정 ‘치명상’ 회복 미지수
이들 과제의 공통 목표는 경제활성화와 각종 개혁과제 추진 등 국정성과 도출로 요약된다.이 총리는 “내각을 통할하는 입장에서 경제살리기에 온몸을 바치겠다”며 “이것이 시대가 요구하는 총리”라고 강조한 바 있다.
박 대통령도 지난해부터 경제혁신 3개년계획을 강도높게 추진중으로, 올해는 반드시 가시적인 성과를 내야한다는 의지가 강하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30대 주요 경제활성화법 중 아직 국회에 계류중인 12개법의 조속한 처리를 요청하고 있다.
이 총리로서는 내각과 함께 국회를 상대로 경제활성화법의 취지를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하는 데 주력해야할 입장이다.
이를 위해서는 야당의 협조가 필수적으로, 이 총리 역시 “야당을 존중하고 국정의 중요한 파트너로 생각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이 총리가 여당 원내대표 시절 야당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던 점은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공무원연금 개혁이나 공직사회 혁신, 노동시장 구조조정 등 각종 개혁과제도 중요 국정현안이다.
특히 이들 과제는 사회적 합의가 필수적인 만큼 화합과 소통의 리더십이 시험대에 오를 전망이다.
◇인준과정 ‘치명상’ 회복여부 미지수 = 하지만 이 총리가 직면한 최대 난제는 인준 과정에서 입은 엄청난 상처에서 회복하는 일이다.
애초 이 총리가 지명됐을 때만 해도 ‘준비된 총리’라는 평가와 함께, 무난한 인준은 물론 ‘책임총리’로서 위상을 확고히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다.
하지만 지명 직후 본인과 차남의 병역 문제, 재산형성 과정, 논문표절 등 의혹이 잇따라 터져나왔고, 청문회 직전에는 ‘언론외압’ 녹취록까지 공개되며 민심이 급속히 악화됐다.
국정비전과 총리로서의 역량을 검증받는 정책 청문회를 하겠다던 이 총리측의 계획은 물거품이 됐고, 이 총리는 청문회장에서 거듭 고개를 숙여야 했다.
리더십에 타격을 입은 이 총리의 향후 행보도 다소 제약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로 쏠린 국정운영의 무게중심에도 큰 변화가 없는 동시에, 이 총리가 ‘책임총리’가 될 수 있을지에 대한 물음표도 한동안 남게 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