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가뭄·식량 상황, 가능한 방안 모두 동원해 파악”
정부는 3일 북측이 6·15 공동선언 발표 15주년 남북공동행사의 무산 책임을 남한 당국에 전가하는 것과 관련 “매우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내놓았다.임병철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은 우리 단체의 접촉 제의를 지속 회피하면서 순수한 사회문화교류 차원의 공동행사 개최를 거부하고, 이러한 행사 무산의 책임을 우리 정부에게 전가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앞서 ‘6·15 공동선언 15돌·조국해방 70돌 민족공동행사 북측 준비위원회’는 지난 1일 ‘광복 70돌·6·15 공동선언 15돌 민족공동행사 남측 준비위원회’에 6·15 행사를 각자 지역에서 분산 개최하자는 서신을 보내왔다고 남측 준비위는 전날 밝혔다.
북측 준비위는 팩스로 보낸 서신을 통해 “남측 당국이 6·15 공동행사에 대해 ‘순수한 사회문화 차원에서 이뤄지는 경우에 허용할 것’이라는 전제조건을 달면서 6·15 민족공동행사를 서울에서 한다는 것에 대한 입장을 아직까지도 밝히지 않고 있다”며 남한 정부를 비난했다.
임 대변인은 이와 관련 “우리 정부는 광복 70주년을 계기로 민간의 교류와 협력이 민족 동질성 회복과 남북관계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간다는 일관된 입장을 견지해왔고, 앞으로 이러한 입장을 계속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런 차원에서 우리 정부는 6·15 공동행사도 순수한 사회문화교류 차원에서 많은 국민의 지지와 공감대를 얻으면서 성공적으로 추진되기를 기대했다”고 강조했다.
임 대변인은 가뭄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알려진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 여부에 대해서는 “인도적 지원은 일단 북한 자체적으로 가뭄이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 그리고 가뭄으로 인해 식량 사정이 어떤지를 먼저 정확하게 파악을 하고, 그다음에 (우리 정부가) 인도적인 지원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순서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정부는 앞으로 가능한 방안을 모두 동원해서 현재 북한의 가뭄 상황, 그리고 식량 사정 등에 대해서 먼저 파악해보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