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北도발에 대비해 공동작전기획팀 운영해 공조체제”
국방부는 26일 남북 고위급접촉 타결의 후속 조치로 남북 군사회담 개최를 위한 준비 작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국방부는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에 제출한 현안보고 자료에서 “남북 군사회담이 개최될 경우에 대비해 체계적인 준비 작업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고위급접촉 공동보도문 1항은 “앞으로 여러 분야의 대화와 협상을 진행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히고 있다.
국방부는 “정부 차원의 교류협력 사업이 추진될 경우 이를 군사적으로 지원하고 보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방부는 북한이 최근 지뢰·포격 도발을 일으킨 것은 내부적으로 체제를 결속하고 외부적으로는 남북관계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했다.
국방부는 또 “북한이 군사적 긴장 상황을 조성해 남남갈등을 유발하고 남북 고위급 접촉에 대한 압박을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국방부는 “북한은 당창건 70주년(오는 10월 10일)을 계기로 대내 결속과 남북관계 주도권 확보 차원에서 지뢰·포격 도발을 통해 남북 대결 국면을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북한군은 남북 고위급 접촉 합의에 따라 준전시상태는 해제했으나 한미 양국 군의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에 대응하는 수준의 대비 태세는 유지하고 있다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북한의 최근 군사적 도발로 남북간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한미 양국 군은 ‘공동작전기획팀’을 운용하며 긴밀한 공조체제를 구축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방부는 북한군의 목함지뢰·포격 도발 이후 추가적인 도발 상황에 대응해 ‘한미 공동작전기획팀(OPT, Operation Planning Team)’을 운용했다고 밝혔다.
한미 공동작전기획팀은 북한의 도발에 대응해 한미 양국의 작전계획을 논의하는 조직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준전시상태 선포에 따른 도발에 대비해 사살상 한미연합작전체제를 유지했다는 설명으로 분석된다.
국방부는 최윤희 합참의장과 커티스 스캐퍼로티 한미연합군사령관이 이번 위기 때 공조체제를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긴장이 정점으로 치닫던 지난 22일에는 최 의장과 마틴 뎀프시 미국 합참의장이 직접 전화 통화를 하며 의견을 조율한 바 있다.
국방부는 이번 위기 기간 “한미 양국은 연합 무력억제방안을 시행하는 등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려는 노력을 강화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