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벤처강국 도약 전폭 지원”다짐

발언하는 문재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2벤처붐 성과보고회 ‘K+벤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1.8.26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26일 “대한민국은 이제 ‘추격의 시대’를 넘어 ‘추월의 시대’를 맞고 있다”면서 “추월의 시대에 많은 새로운 성공 전략을 찾아야 하며, 벤처산업이 그 해법을 쥐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창업부터 성장, 회수와 재도전까지 촘촘히 지원해 세계 4대 벤처강국으로 확실하게 도약하겠다”며 정부의 전폭 지원 의지를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1·2세대 벤처업계 인사들과 함께한 ‘K+벤처’(K애드벤처) 행사에서 “‘추격형 경제’에서 ‘선도형 경제’로 나아가는 중심에 벤처기업인들이 있다”며 이렇게 밝혔다.
문 대통령은 ‘제2 벤처붐’과 관련, ▲기술창업 활성화 ▲인재·자금 유입 촉진 ▲M&A(인수합병) 시장 활성화를 3대 과제를 제시했다.
특히 인재·자금 유입 촉진 방안으로 “스톡옵션의 세금 부담을 대폭 낮춰 실질적인 인센티브가 되도록 하겠다”고 약속했고, “위험 부담이 큰 초기 창업기업 투자 확대를 위해 1조원 규모 전용 펀드를 신규 조성하고, 민관 합작 벤처 펀드의 손실은 정부가 우선 부담하고 이익은 민간에 우선 배분해 더 많은 시중자금이 벤처기업으로 흘러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경영권 부담 없이 대규모 투자를 받을 수 있도록 비상장 벤처기업의 복수의결권 주식 발행 허용 법안의 조속한 통과를 위해 국회 협조를 구하겠다고 밝혔다.
투자자금의 원할한 회수 및 재투자와 관련, “중소·중견기업의 벤처기업 인수를 지원하는 기술혁신 M&A 보증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2000억원 규모 M&A 전용 펀드도 새롭게 조성해 상장기업들이 펀드를 통해 벤처기업 합병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도록 규제를 합리적으로 바꿔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현재의 제2벤처붐이 규모와 질 모두 2000년대 초반의 첫 번째 벤처붐보다 ‘진화된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당시와 비교하면 벤처기업 수는 4배 늘어난 3만 8000개에 이르고, 연간 신규 벤처투자 규모는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4조원을 넘기며 2배 확대됐다는 것이다. 또 2017년 3개였던 유니콘 기업은 15개로 늘었고 예비 유니콘 기업은 357개에 이르며, 코스피와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20위권 내에 각각 4개와 13개의 벤처 출신 기업 또는 벤처기업이 포함됐다.
문 대통령은 “벤처기업은 일자리에서도 든든한 주역이 됐다. 이미 4대 대기업 그룹의 고용 규모를 뛰어넘었다”고 했다. 올 상반기 벤처기업 일자리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만 7000개 늘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