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당시 국군 1사단장으로 활약했던 백선엽(1920~2020) 장군의 3주기를 맞아 동상 제막식과 추모식이 경북 칠곡군 다부동전적기념관에서 열렸다.
이날 추모행사는 국가보훈부 주관으로 열린 동상 제막식에 이어 육군 주관 3주기 추모식으로 거행됐다. 동상 제막식에는 박민식 보훈부 장관, 이종섭 국방부 장관, 이철우 경북지사 등 100여명이 참석했으며 3주기 추모식에는 박정환 육군참모총장 주관으로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와 이 장관, 폴 러캐머라 한미연합사령관, 역대 육군참모총장과 국군장병 등 1000여명이 자리를 함께했다. 육군본부는 그동안 추모식이 여러 민간단체에 의해 치러졌지만 올해는 6·25전쟁 정전협정 및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육군 통합으로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이날 추모사에서 “백 장군의 일생은 대한민국을 지켜온 역사 그 자체로, 지금의 대한민국을 있게 한 위대한 삶이었다”며 “어떤 단어로도 백 장군의 업적과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기 부족하다”고 했다. 그는 이어 “백 장군의 불멸의 전공과 업적, 나라를 사랑하는 참된 뜻이 후세들에게 길이길이 계승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백 장군은 평안남도 강서군(현 남포시)에서 1920년 태어났으며 1941년 만주국 소위로 임관해 간도특설대 소속으로 독립군 토벌작전에 참여했다. 6·25전쟁 당시에는 개성 주변을 담당하는 1사단장으로 낙동강 방어작전 중 일부인 다부동 전투를 지휘했다. 전쟁 후기에는 육군참모총장을 맡았다. 1953년 한국군 최초 4성장군이 됐고 1960년 예편했다. 2020년 100세를 일기로 별세해 대전현충원에 안장됐다.
이미지 확대
모습 드러낸 백선엽 장군 동상 경북 칠곡군 다부동전적기념관에서 5일 열린 백선엽 동상 제막식에서 참석자들이 동상 모습을 공개하고 있다. 칠곡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모습 드러낸 백선엽 장군 동상
경북 칠곡군 다부동전적기념관에서 5일 열린 백선엽 동상 제막식에서 참석자들이 동상 모습을 공개하고 있다. 칠곡 연합뉴스
강국진·최현욱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