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지지층 어디로… 대선 최대변수 부상
안철수 전 무소속 후보의 대선시계가 D-26일에 멈춰 서 버렸지만 안 전 후보는 여전히 대선판의 가장 중요한 상수로 볼 수 있다. 그의 지지자들이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와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 가운데 누구를 더 많이 지지하고, 얼마나 기권해버리느냐에 따라 승패가 갈릴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도 안 후보 지지층 향배가 대선 최대변수라고 본다. ‘안철수의 힘’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제18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등록이 시작된 25일 경기도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의 후보 대리인들이 후보자 등록신청서를 제출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근혜 후보 측 조윤선 대변인과 서병수 당무조정본부장, 문재인 후보 측 이정석 재정관리팀장과 우원식 총무본부장.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朴·文, 대선후보 등록
제18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등록이 시작된 25일 경기도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의 후보 대리인들이 후보자 등록신청서를 제출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근혜 후보 측 조윤선 대변인과 서병수 당무조정본부장, 문재인 후보 측 이정석 재정관리팀장과 우원식 총무본부장.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제18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등록이 시작된 25일 경기도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의 후보 대리인들이 후보자 등록신청서를 제출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근혜 후보 측 조윤선 대변인과 서병수 당무조정본부장, 문재인 후보 측 이정석 재정관리팀장과 우원식 총무본부장.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박·문 후보 측은 안 후보 주 지지층인 20~30대를 끌어안기 위한 전략을 가동하기 시작했다. 문 후보를 지지하기 싫지만, 박 후보 지지에도 멈칫거리고 있는 부동층이 역점 공략 대상이다. 25일 발표된 각종 여론조사에서 박·문 후보가 5대5의 팽팽한 접전을 펼치는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에 앞으로 안 후보 지지층이 어디로 이동하느냐가 승패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각종 여론조사에서는 부동층이 급증한 것으로도 조사됐다. 안 후보 사퇴 전 부동층은 10% 이내로 극히 적었다. 안 후보 사퇴 뒤에는 부동층이 20% 안팎으로 두 배 이상 급증했다. 새 정치를 갈망하며 안 전 후보를 택했던 무당파 다수가 다시 부동층이 된 것이다.
안 후보 사퇴가 벼랑 끝 감정싸움 끝에 이뤄져 안 후보 사퇴는 문 후보를 위한 것이 아니라 안 후보를 위한 것으로도 해석된다. 이에 문 후보 측 관계자는 “안 후보 사퇴 뒤 지지층의 실망감으로 컨벤션 효과는 덜할 것 같다. 다만 며칠만 지나 실망감과 분노가 사그라들면 다시 문 후보 쪽으로 옮겨 올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시했다.
기존정치 불신에 따라 안 전 후보를 지지했던 중도세력이 기권하면 박 후보와 접전 중인 문 후보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문 후보가 진정성을 갖고 안 후보의 상심을 달래주느냐가 이들을 흡수하느냐를 가를 것 같다. 따라서 안 전 후보가 문 후보와 함께 지원유세를 하고 투표 독려를 하느냐, 아니면 거리를 두느냐가 초미의 관심사다.
문 후보 측은 안 전 후보나 지지자들의 응어리가 남아 있다고 보기 때문에 섣불리 지원을 요청할 상황이 아닌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문 후보 측 한 관계자는 “주초부터 안 전 후보 측을 조심스럽게 접촉할 계획이다. 문 후보가 안 전 후보를 어디까지라도 찾아가 도움을 요청하자는 제안도 있다.”고 밝혀 어떤 카드가 제시될지 주목된다. 안 전 후보 마음 얻기에 사활을 걸겠다는 분위기다.
박근혜 후보 측은 국민대통합을 전면에 내세우며 안 후보 지지층 가운데 중도층을 흡수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안 후보로부터 이탈한 중도세력 다수가 흔들리고 있다고 진단하기 때문이다. 보수대결집이 아니라 중도층 대결집을 추진하기로 했다. 새 정치를 갈망했던 중도보수 성향의 안 후보 지지 유권자가 주공략 대상이다. 중도를 표방하며 정치쇄신 카드를 제시해 이들을 흡수하기로 했다. 가계부채, 일자리 확충 등 중도보수층을 겨냥한 공약 제시에 주력할 방침이다.
이춘규 선임기자 taein@seoul.co.kr
2012-11-26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