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룡해와 권력 이분화한 듯

황병서 北 노동당 정치국 상무위원
북한 매체에서 최근 황병서 노동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이 총참모장과 인민무력부장보다 먼저 호명된 데 이어 대장이었던 그의 직급이 원수 바로 아래인 차수로 승진한 사실이 보도됐다. 조선중앙통신은 28일 황 제1부부장에게 차수 칭호를 수여하는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와 국방위 결정이 지난 26일 발표됐다고 전했다. 이 같은 승진의 정확한 배경은 확인되지 않지만 그가 최룡해 총정치국장 대신 그 자리에 임명됐거나 대행을 맡고 차수 계급까지 부여받은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이는 2012년 4월 김정은 체제가 공식 출범한 이후 2년 만에 군부의 3대 핵심 직책인 총정치국장과 총참모장, 인민무력부장이 모두 교체되는 것이다. 군부 서열 1위인 최룡해의 권력을 당 실세인 황 제1부부장과 나눠 갖게 함으로써 당이 군부를 장악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노동신문 보도에서 리영길 총참모장과 장정남 인민무력부장이 지난 8일의 당중앙위 정치국 회의에서 정치국 위원보다 낮은 후보위원에 선출된 것도 이러한 군부의 위상 하락을 짐작게 하는 대목이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2012년 4월 최룡해의 총정치국장 임명 공개 방식과 거의 유사하게 황병서의 총정치국장 임명도 단계적으로 공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면서 “황병서가 당중앙위 조직지도부에서 오랫동안 군부를 정치적으로 지도해 왔기 때문에 그가 총정치국장직을 수행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더불어 김정은 체제의 ‘2인자’로 급부상한 최룡해의 위상 변화도 감지된다. 최룡해는 지난 15일 태양절을 기념해 열린 중앙보고대회와 금수산기념궁전 참배 때 모습을 드러낸 후 공개석상에 나타나지 않고 있다. 올해 초 실각설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지난 9일 제13기 최고인민회의 1차 회의에서 국방위 부위원장에 새로 선출된 것으로 나타난 바 있어 당뇨 등의 건강 문제로 공개활동이 어려운 게 아니냐는 분석에 무게가 더 실린다.
한편 이날 유리 트루트녜프 러시아 부총리 겸 극동연방지구 대통령 전권대표가 북한을 방문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트루트녜프 부총리는 북한 공안당국에 수방차 수십대를 기증하는 등 일정을 소화했으며 경제협조 합의서를 조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석 기자 ccto@seoul.co.kr
2014-04-29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