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P 연합뉴스
36년만의 노동당 대회 맞은 평양 풍경
북한 제7차 노동당 대회 개막을 하루 앞둔 5일(현지시간) 평양의 교차로에서 한 여성 경찰이 교통정리를 하고 있다. 여성 경찰 뒤로 노동당기가 꽂혀진 장식물이 보인다.
AP 연합뉴스
AP 연합뉴스
북한이 36년 만에 6일 제7차 노동당 대회를 개최한 가운데 북한군은 평소보다 높은 수준의 경계태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이날 “최전방 지역 북한군은 특별한 움직임을 보이지는 않고 있다”면서도 “다만, 당대회를 맞아 높은 수준의 경계태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북한은 제7차 당대회를 앞둔 지난 2일 평양과 국경 지역에 특별경비주간을 선포하고 경게태세를 강화한 상태다.
국가적인 행사 기간에 외부의 공격이나 내부의 분란이 일어날 가능성을 염두에 둔 조치로 보인다. 북한은 과거에도 대규모 행사를 치를 때마다 특별경비주간을 선포했다.
비무장지대(DMZ)에 있는 북한군 소초(GP)에서는 최근 상급부대 지휘관이나 참모의 방문이 빈번해지는 등 경계태세를 강화한 정황이 포착됐다.
북한군은 지난해 말부터 DMZ에 경계초소 200여개를 새로 설치하기도 했다.
북한군은 서해 북방한계선(NLL) 해역에서도 꽃게철을 맞아 높은 수준의 경계태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NLL 해역에서 최근 조업 중인 북한과 중국 어선은 하루 평균 각각 140여 척, 240여 척으로, 예년의 2배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에서는 핵실험 준비를 시사하는 특별한 움직임이 포착되지 않고 있다.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인 38노스는 지난 4일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낮은 수준의 저강도 활동만 이뤄지고 있다고 분석한 바 있다.
풍계리 핵실험장에서는 지난달 인력과 차량의 활발한 움직임이 관측돼 북한이 당 대회를 앞두고 5차 핵실험을 감행할 것이라는 관측을 낳았지만 5차 핵실험은 일단 당 대회 이후로 넘어갈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해안 지역에서 중·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할 움직임도 포착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대부분 지역은 이날 흐리거나 비가 내려 미사일 시험발사를 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군 관계자는 “북한이 당 대회를 앞두고 핵실험을 하지는 않았지만 언제든지 핵실험을 할 수 있고 추가 도발 가능성도 상존한다”며 “한미 양국 군은 북한군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