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리스트’ 첫 공식 입장… 대선자금 불똥 확산에 정면돌파
박근혜 대통령은 12일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여권 핵심 인사들에 대한 금품 제공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법과 원칙에 따라 성역 없이 엄정히 대처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
앞서 성 전 회장은 경향신문이 지난 11일 공개한 인터뷰 녹취록에서 2012년 대선 때 홍문종(당시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조직총괄본부장) 새누리당 의원에게 대선 자금 2억원을 건넸다고 주장했다. 홍 의원은 “단 1원이라도 받았다면 정계 은퇴를 할 것”이라고 정면 부인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도 이날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고인이 작성한 메모로 인해 온 정치권이 의혹 대상이 되고 국정 자체가 큰 타격을 입고 있다”며 “위법을 덮으면 이건 또 다른 불행으로 연결된다”며 신속한 검찰 수사를 요구했다.
김 대표는 “대한민국 검찰의 명운을 걸고 좌고우면하지 말고 국민만 바라보고 철저히 수사하길 바란다”며 “검찰에 외압이 없도록 새누리당에서 앞장서 책임지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특별검사 도입은 “검찰 수사가 순서”라고 선을 그었다. 반면 같은 당 김문수 보수혁신위원장은 이날 “부패하면 즉사한다는 각오로 특별검사든 무엇이든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검찰이 진실을 제대로 밝히지 못할 경우 국민이 특검을 요구하게 될 것”이라며 선(先) 검찰수사, 후(後) 특검 입장을 밝혔다. 문 대표는 이날 경기 성남 중원구 선거 현장에서 “모두 직책이 높은 권력자들로 검찰 수사가 쉽지 않아 보인다”고 전제했다. 이어 “리스트 주인공들은 직책을 내려놓고 수사에 협조해야 한다”며 ‘성완종 메모’에 거명된 이완구 국무총리, 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 등 현직 6인의 직무 중지를 요구했다.
‘성완종 리스트’는 13일 시작되는 국회 대정부질문을 계기로 정치권 이슈들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이며 여권의 국정 부담을 가중시킬 것으로 관측된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5-04-13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