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시병 왜 어선 못 봤나
지난 10일 제주항 인근에서 어선과 충돌해 승조원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된 고속정 침몰 사고와 관련해 각종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고성능 레이더를 장착한 고속정이 어선을 피하지 못해 충돌한 점 등 쉽게 납득할 수 없는 부분들이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침몰한 해군 3함대 소속 고속정(참수리-295호·150t급)은 9일 오후 10시 50분쯤 제주항 서북방 약 10㎞ 해상에서 어선 106우양호(270t급)와 충돌했다. 사고 고속정은 오후 8시에 출항해 야간 경비 임무를 수행하고 12노트(약 22㎞) 속도로 제주항으로 복귀 중이었다. 당시 해상의 파고는 2m, 가시거리가 5.4㎞ 정도로 경비 임무를 수행하기에 나쁘지 않은 날씨였다. 특히 고속정은 2대가 편대로 운항 중이였기 때문에 앞선 고속정이 어선과 충돌한 뒤 승조원들은 뒤따르던 고속정에 의해 구조됐다.
하지만 이런 정황은 여러 의문점을 낳고 있다. 일단 고속정에는 해상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레이더가 있다. 어선이 11노트의 속도로 운항 중이었다는 해군의 설명에 따르면 충돌 전부터 이미 우양호는 참수리 295호의 레이더상에 들어왔어야 한다. 게다가 해상의 배가 점으로 나타난다고 해도 두 배가 비슷한 속도로 같은 곳을 향하고 있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위험을 알릴 수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또 해군 제주 방어사령부 등에서 레이더로 해상 상황을 확인하고 있었던 점을 고려할 때 두 배의 충돌은 더욱 많은 물음표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이에 해군은 “당시 100여척의 어선이 인근에서 조업 중이였고 레이더에 점으로 표시되는 것들을 하나하나 군 작전선에 접근하는 것으로 세밀하게 판단하는 것은 어렵다.”면서 “정확한 원인을 조사해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해군의 이 같은 설명은 우양호가 크기로는 고속정보다 4배가량 크다는 점에서 납득하기 어렵다. 우양호의 뱃머리 아래 돌출 부분이 고속정 뱃머리에 닿을 만큼 우양호와 고속정의 선체 규모가 크게 차이 나기 때문이다. 우양호가 고속정에 접근하기 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고속정을 지휘하는 정장 등은 선상에 나와 있었고 견시병이 있는 점 등을 고려하면 우양호를 육안으로 식별했어야 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편대로 이동하며 뒤따르던 다른 고속정에서 우양호의 접근을 육안으로 볼 수 있지 않았냐는 의문도 나오고 있다. 현재 해군은 승조원들에 대한 개별 조사를 벌이고 있으며 해양경찰의 조사 등과 종합해 사고 원인을 결론 낼 예정이다.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2010-11-13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